ADVERTISEMENT

6.25단체서도 몰랐던 그녀들, 여성의용군 874명 아시나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5일 서울 경복궁에서 여성의용군 알리기 거리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청년들의 모습. 왼쪽부터 김성준(23), 최지혜(22), 정환철(26), 윤희경(25), 이동협(23)씨. [박태인 기자]

25일 서울 경복궁에서 여성의용군 알리기 거리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청년들의 모습. 왼쪽부터 김성준(23), 최지혜(22), 정환철(26), 윤희경(25), 이동협(23)씨. [박태인 기자]

‘잊혀진 역사’에 관심이 많다는 최지혜(서울여대ㆍ22)씨는 지난달 중순 우연히 한국전쟁에 참전한 여군들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6.25 단체에 물어보니 "그런게 있었나요?" #교과서엔 여성의용군 언급 한 줄도 없어 #시민들 "존재 몰랐다, 여성의 위대함 상기시켜줘"

조금 더 알고 싶어 전국에 지부를 둔 한국전쟁 관련 단체에 전화를 걸었다. 그리고 들은 예상외의 대답. 전화를 받은 직원은 최씨에게 “그런 게 있었는지 몰랐다”고 말했다.

가족과 친구에게 물어봐도 참전했던 여성의용군의 존재를 아는 사람을 찾기 어려웠다. 동료들과 함께 초중고 역사 교과를 샅샅이 훑어봤다. 여성의용군에 대한 언급은 단 한 줄도 나오지 않았다.

이에 최씨는 한국전쟁 68주년을 맞아 서로 다른 대학교에 다니는 6명의 청년과 ‘여성의용군 알리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전쟁 중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여성들이 이렇게 잊혀져선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6.25 전쟁 당시 모집된 여성 의용군 대원들이 사격 훈련을 받고 있다. 이들은 모두 자발적으로 입대했고 전쟁에 참전했다. [사진 국가기록원]

6.25 전쟁 당시 모집된 여성 의용군 대원들이 사격 훈련을 받고 있다. 이들은 모두 자발적으로 입대했고 전쟁에 참전했다. [사진 국가기록원]

한국전쟁에 참전한 여성들이 있었다. 정부 공식 통계로는 2300여명.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3달 뒤인 1950년 9월1일 정부는 여성의용군 교육대를 창설했다. 1기생 500명을 선발하는데 2000여명이 몰렸다. 혈서를 쓰고 입대한 사람도 있었다.

당시 여성의용군 교육대 교장은 지난달 ‘6ㆍ25 전쟁영웅’으로 선정된 여군 최초 대령 고(故) 김현숙이다. 재작년 1만명 시대에 진입한 한국 여군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됐다.

최씨 등이 찾아낸 기록에 따르면 여성의용군은 4주간 실탄사격ㆍ독도법ㆍ야간훈련을 마친 뒤 전장에 투입됐다. 1기 중도 탈락자는 단 9명. 3달 뒤 2기생으로 384명이 입소했다. 1명이 중도 탈락했고 383명이 추가로 전장에 투입됐다. 정훈과 간호, 유격, 행정 등이 주요 임무였다.

6.25 전쟁 당시 모집된 여성 의용군들이 정훈 훈련을 받고 있다. 여성 의용군들은 전장에 유격대로 투입되거나 정훈, 간호, 행정 업무 등을 맡았다. [사진 국가기록원]

6.25 전쟁 당시 모집된 여성 의용군들이 정훈 훈련을 받고 있다. 여성 의용군들은 전장에 유격대로 투입되거나 정훈, 간호, 행정 업무 등을 맡았다. [사진 국가기록원]

당시 여군을 위한 숙소와 장비가 없었다. 의용대는 정식 숙소가 아닌 피난민 민가를 사용했고 남군의 쓰다남은 군복을 입었다. 팔과 다리가 긴 군복은 걷어 입었다. 지급받은 모자와 방탄모는 눈 밑까지 흘러내렸다. 북한 인민군 포로로 오해받는 경우도 있었다.

할아버지가 한국전쟁 참전 유공자였다는 김성준(한국외대ㆍ23)씨는 “할아버지는 평생 참전용사의 자부심을 갖고 사셨다”며 “성별만 다르지 이분들도 똑같은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는데 기억되지 않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했다.

여성의용군 기억운동에 나선 이들 7명의 청년은 이달 초 한국 설화에 등장하는 ‘우투리(U-Turi·날개 달린 아기 장수)’란 이름의 팀을 조직했다. 많은 사람에게 알려진 우투리처럼 숨겨진 참전 용사를 알리고 싶어 지은 이름이다. 크라우드펀딩 웹사이트 텀블벅에 ‘여성의용군 기억의 시작’이란 프로젝트를 게시했다.

여성의용군을 알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초등학교 역사 강연을 택했다. 지원금이 필요했다. 여성의용군 로고를 사용한 물병 등을 제작해 모금운동에 들어갔다. 모금 기한까지 9일이 남았지만 벌써 목표 금액의 8배인 430만원이 모였다.

이 금액은 사단법인 ‘우리역사바로알기 시민연대’와 함께 진행하는 역사 교육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시민연대가 숙련된 역사 강사를 제공하고 청년들도 보조 강사로 수업에 참여한다. 25일 현재 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강연을 타진 중이다.

송시내 시민연대 교육국장은 “학생들이 강의안을 들고 먼저 찾아왔다”며 “이렇게 역사에 관심이 많은 학생을 보고 울컥했다”고 했다.

김성준(23) 학생(오른쪽 끝)이 25일 오후 거리에서 만난 시민들에게 여성 의용군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박태인 기자]

김성준(23) 학생(오른쪽 끝)이 25일 오후 거리에서 만난 시민들에게 여성 의용군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박태인 기자]

청년들은 이날 서울 시내에서 여성의용군 알리기 거리 캠페인도 진행했다. 이날 직접 여성의용군 설명을 들은 김선희(52)씨는 “의용군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됐다. 여성의 위대함을 다시금 상기시켜주는 분들”이라고 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 유독 여성 군인만 더 기억해야 하느냐”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김 씨는 “여성의용군을 기억한다고 남성 참전용사의 업적이 깎이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