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다음 주 초 열릴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6일 오후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6일 오후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남북군사회담이 이달 안에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 이르면 다음 주 초로 회담일정이 잡힐 가능성도 점쳐진다.

26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판문점 공동선언 이행 방안을 조속히 실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그중 하나가 남북군사회담의 개최였다는 것이다. 한 소식통은 “국방부는 남북군사회담이 곧 열릴 것으로 보고 이날 긴급회의를 열고 관련 사항을 점검했다”고 말했다.

장성급 군사회담은 노무현 정부 시절에만 7회 열렸다. 2007년 12월 12~14일 회담이 마지막이었다. 이번에 회담이 열리면 10년 6개월 만이다. 국방부는 장성급 회담에 이어 국방장관회담 일정도 가급적 빨리 잡을 방침이다.

남북 정상은 지난달 27일 판문점 선언에서 “남과 북은 쌍방 사이에 제기되는 군사적 문제를 지체 없이 협의 해결하기 위하여 5월 중에 먼저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기로 했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북한이 지난 16일 장성급 군사회담 일정 등을 논의할 남북고위급회담을 회담 당일 취소했다.

북한의 관영 중앙통신은 같은 날 “우리는 남조선에서 무분별한 북침전쟁 소동과 대결 난동이 벌어지는 험악한 정세 하에서 북남고위급회담을 중지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당시 진행 중인 한ㆍ미 연합 공군훈련인 맥스선더를 빌미로 삼은 것이다.

남북은 군사회담에서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는 군사적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었다. 우선 남북 군 지휘부간 직통전화인 핫라인(Hot Line) 설치와 동해 군통신선 재개 등이 우선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됐다. 휴전선 비무장지대(DMZ)의 실질적 비무장화가 군사적 긴장완화 조치 중 하나로 꼽힌다.

또 남북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 평화수역을 만드는 문제도 상의할 계획이었다. 앞서 판문점 선언에선 “남과 북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어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어로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실제적인 대책을 세워나가기로 했다”고 적시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남북군사회담이 무기한 연기됐지만, 국방부는 이와 상관없이 회담을 준비했다”며 “북한도 이달 중 회담이 열릴 것으로 보고 나름 대비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김도균 청와대 국방개혁비서관(육군 소장)을 남측 대표인 국방부 대북정책관으로 기용했다. 또 판문점 선언 이행추진 국방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외부 전문가 자문단도 만들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