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文 문고리 권력-드루킹 연루…이래서 특검 반대했나”

중앙일보

입력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 [중앙포토]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 [중앙포토]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과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의 주범인 ‘드루킹’ 김동원씨가 대선 전 4차례 만난 사실이 드러나자 야권은 “이래서 특검에 반대했느냐”며 총공세를 폈다.

 지난 4월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자체조사 결과 송 비서관은 대선 전인 2016년 6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드루킹을 4차례 만났고, 간담회 사례비 명목으로 100만원씩 2차례에 걸쳐 200만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2016년 6월 송 비서관이 드루킹을 처음 만날때 김경수 민주당 경남지사 후보도 함께 있었다고 한다. 대선 당시 송 비서관은 문재인 후보 캠프의 일정총괄팀장을, 김 후보는 수행대변인을 맡았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1일 오후 부산 금정구 범어사를 찾아 주지 경선스님을 예방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헌승 부산시당 위원장, 서병수 부산시장 예비후보, 홍준표 대표. [뉴스1]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1일 오후 부산 금정구 범어사를 찾아 주지 경선스님을 예방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헌승 부산시당 위원장, 서병수 부산시장 예비후보, 홍준표 대표. [뉴스1]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날 부산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의 최측근 두 분이 (드루킹 사건과) 관련됐다”며 “대통령의 인지여부도 특검에서 조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주선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도 “이런 문제가 내재돼 있었기 때문에 청와대가 드루킹에 대한 조속한 특검 촉구에도 꿀 먹은 벙어리처럼 말 못하고 있었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한사코 특검에 반대했구나하는 생각이 든다”며 “이래서 특검을 해야 한다”고 했다.

 야당은 대통령 측근들이 이 사건에 연루된 것을 두고 박근혜 정부의 ‘문고리 권력’에 빗대 공세를 폈다. 한국당 ‘민주당 댓글공작 진상조사단’ 단장인 김영우 의원은 “문 대통령 주변의 복심들이 여론조작팀과 연결돼 있다는 건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며 “박근혜 정부 당시 ‘문고리 3인방(이재만ㆍ안봉근ㆍ정호성 전 비서관)’을 비판했던 지금의 여권이 문고리 권력의 적폐를 방치해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김경수 후보가 댓글 쿠데타의 총책이자 사설 국정원장 역할을 했고, 송 비서관은 박근혜 정권의 정호성(전 부속비서관) 역할을 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제40차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유승민 공동대표.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제40차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유승민 공동대표. [연합뉴스]

 야당은 이날 청와대의 해명도 문제삼았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주당원 댓글조작과 관련해 모르쇠와 침묵으로 일관하던 청와대가 특검법 통과 직전 갑작스레 송 비서관의 연루사실을 고해성사하듯 인정하고 나선들 누가 (결백하다고) 믿겠느냐”며 “청와대가 지금 할 일은 어설픈 물타기가 아니라 특검에 성실히 임하고 어떠한 수사 방해행위도 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부대변인도 “마음대로 ‘적절한 만남’, ‘상식적인 액수’, ‘셀프 종결’해 놓고, 지금와서 대통령에게 보고 한다는 청와대는 ‘평균적인 도덕성’은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며 “얼마가 상식선의 액수냐”고 따졌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특검법안이 합의되자 뒤늦게 이러한 사실이 공개된 것은 '특검수사 대비용 책임 회피' 꼼수에 불과하다"며 "청와대와 민주당은 드루킹 접촉내역을 모두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