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측 “5·18 당시 북한군 폭동이 왜 모욕적인 말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두환 전 대통령과 그의 회고록. [중앙포토]

전두환 전 대통령과 그의 회고록. [중앙포토]

전두환 전 대통령의 회고록을 집필한 민정기 전 청와대 비서관이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북한군이 개입해 폭동을 일으켰다는 주장은 광주 시민들에게 모욕적이라는 말에 “그게 왜 모욕적이냐”고 물었다.

민 전 비서관은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5‧18 당시 북한군이 시민으로 위장해 침투했을 개연성이 충분히 있다며 “당시 북한 간첩들의 무선통신 등이 포착돼 수사, 재판 과정에서 다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민정기 전두환 전 대통령 비서관. [중앙포토]

민정기 전두환 전 대통령 비서관. [중앙포토]

미국의 기밀문건에 ‘5‧18은 공산주의가 배후에 있지도 않았고 북한군 투입 사실도 없다. 북한군이 개입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오로지 전 전 대통령뿐이었다’는 문구가 나온다는 질문에 그는 “걸핏하면 미국 자료를 신줏단지 모시듯 자꾸 들고나오는데, 미국의 정보라는 건 아주 막연하고 추상적인 것”이라며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상식으로 봐도 지난 70년 동안 남한에서 내부 분열을 일으켜 그 기회를 이용해 적화 통일하겠다는 북한의 전략이 변한적 없다”고 강조했다.

진행자는 이에 “북한군이 시민들 사이에 끼어 폭동을 일으켰다는 것은 광주 시민들에게는 굉장히 모욕적인 얘기”라고 말했고, 민 전 비서관은 “그게 왜 모욕적입니까?”라며 “북한군 600명이 침투했으면 인민군복 입고 행군하듯이 들어왔겠나. 80년 봄 남한이 상당히 혼란한 상황이었는데 북한이 그걸 가만히 팔짱 끼고 구경만 했겠나”라고 되물었다.

민 전 비서관은 또 ‘광주 사태’가 아닌 ‘광주 민주화운동’이라고 지칭해달라는 진행자의 부탁에 “광주 사태라는 말이 가치 중립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쪽에서 민주화운동이라고 하는 것이고, 한쪽에서는 내란이라고 하지 않느냐”며 “당신들 언론에서 일부만 민주화운동이라고 하는 것이지 더한 얘기 하는 사람들도 얼마든지 있다”고 맞섰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