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김정은과 만날 날짜·장소 곧 발표”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82호 01면

트럼프(左), 김정은(右)

트럼프(左), 김정은(右)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간의 첫 정상회담 날짜와 장소가 정해졌다. AP통신 등 외신은 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시간과 장소가 정해졌으며,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서 기자들에게 밝혀 #정부소식통 “판문점 유력” #NYT 주한미군 감축 보도 의식 #“이번 회담에선 논의 안 할 것”

AP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로 떠나기 전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서 “주한미군 철수는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북한과 매우 실질적인 대화를 나누고 있으며, 인질(억류 미국인 3명)과 관련해 이미 많은 일이 일어났다”며 “여러분들이 매우 좋은 일을 보게 될 것”이라고 석방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 논의 부인은 지난 3일 뉴욕타임스(NYT) 보도를 염두에 둔 것이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3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수주일 앞둔 상황에서 펜타곤에 주한미군 감축 옵션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익명으로 인용된 복수의 미 관리들은 “주한미군 감축 규모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협상 카드로 사용할 의도는 없다”면서도 “남북 간 평화협정이 체결될 경우 미군 2만8500명이 한반도에 주둔할 필요성이 줄 것이라는 점은 인정했다”고 말했다.

보도와 관련, 존 볼턴 백악관 NSC(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은 4일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곤(미 국방부)에 주한미군 병력 감축 옵션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내린 바 없다”고 밝혔다. 백악관에 앞서 청와대도 긴급 진화에 나서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미 백악관 NSC 핵심 관계자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워싱턴을 방문 중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백악관 핵심 관계자와 통화한 결과라는 설명과 함께였다.

청와대의 신속한 반응은 지난 2일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의 기고에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주한미군은 한·미 동맹의 문제이며, 평화협정 체결과 아무 상관이 없다”고 진화했던 것의 연장선이다. 주한미군 감축·철수 논란은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북 협상력을 떨어뜨리고 한미 동맹을 약화시킨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회담 장소와 관련, 정부 소식통은 중앙SUNDAY에 “북·미간 첫 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이 유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트위터를 통해 “여러 나라가 회담 장소로 고려되고 있지만 남북한 경계의 평화의집, 자유의집이 제3국보다 더 대표성이 있고,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장소가 아니겠는가”라며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을 거론한 바 있다.

트위터에 이어 그는 같은 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판문점에는 내가 흥미롭게 생각하는 뭔가가 있다”며 “좋은 건 당신이 실제로 그곳에 있기 때문에 일이 잘 풀리면 제3국이 아닌 판문점 현장에서 성대한 축하행사를 하게 된다는 점”이라고 판문점을 유력 장소로 검토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미국을 방문 중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존 볼턴 보좌관을 만나 북미 정상회담 전 워싱턴에서 한미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침을 거듭 확인했다고 청와대 윤영찬 수석이 전했다.

한미 양국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전쟁의 공포 없이 남북이 평화롭게 공존할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정 실장은 이날 회동 후 “볼턴 보좌관과의 만남은 매우 실질적이고 유익했다”고 말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서울=홍주희 기자 jjpol@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