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심재우의 뉴스로 만나는 뉴욕] 주거지서 반경 40㎞ 밖 못 나가 … FBI 감시 속 벚꽃놀이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1991년 9월 18일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이후 북한은 말못할 고민에 빠졌다. 적국의 심장인 뉴욕에 다수의 외교관을 상주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임대료와 물가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비싼 뉴욕에서 사무실과 주거지를 구하는 것도 문제였지만, 외교관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격리’시키는 것도 고려해야 했다.

뉴욕 주재 북한 외교관이 사는 법

결국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의 사무실은 유엔 본부에서 걸어서 5분 거리인 맨해튼 2번 애비뉴와 44~45가 사이 건물 13층으로 잡았다.

27년간 똑같은 사무실·주거지

10명 정도의 외교관들이 가족과 함께 머물 공간으로는 맨해튼 내에서 렌트비가 가장 저렴한 편인 루스벨트 아일랜드내 아파트를 정했다.

루스벨트 아일랜드는 이스트리버를 사이에 두고 맨해튼을 바라보는 섬이다. 보안은 확실했고, 맨해튼의 화려함은 없는 곳이다.

그렇게 27년이 흘렀지만 외교관들의 사무실과 주거지는 한번도 변하지 않았다.

북한대표부는 워싱턴에 대사관이 없는 북한이 그동안 미국 정부와 소통하는 공식 창구 역할을 했다. 이른바 ‘뉴욕 채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북·미 대화가 약 한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북한대표부는 정중동이다.

이들은 바깥 활동은 거의 하지 않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트위터를 분석하고, 워싱턴 정가 분위기를 평양에 전달하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23일 대표부 앞에서 몇 시간을 기다려 퇴근하는 김인룡 차석대사를 만났다.  “북미대화 어떻게 준비중이냐”“미국인 인질 세 명 석방하는 거 맞냐” 등의 질문을 던졌지만 그는 입을 굳게 닫았다. 항상 2인1조 또는 3인1조로 다니는 북한 외교관들은 “대사님 지금 안 계십니다”는 말만 남기고 구형 포드 승합차를 타고 가버렸다.

다음날 아침 적당히 둘러대고 1층 검색대를 통과한 다음 13층으로 향했다. 북한대표부 정문에 달린 초인종을 두 차례 눌렀지만 감감 무소식이었다. 출입문 바깥으로 폐쇄회로TV(CCTV)가 달려있어 안에서는 밖을 볼 수 있는 구조다.

8년 전 이 사무실을 방문한 적이 있다는 뉴욕 교민 L씨는 “최근에도 들러봤지만 예전처럼 짝이 안맞는 싸구려 가구에, 외교관 부인들이 비서 역할을 하는 등 달라진 게 없었다”고 전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한 친북인사에 따르면 이 사무실에서 적게는 9명, 많을 때는 11명의 외교관이 근무해왔다. 자성남 대사와 김 차석대사는 자가용으로 출근하고, 나머지는 함께 승합차로 출·퇴근한다.

루스벨트 아일랜드는 맨해튼과 이스트리버를 사이에 두면서 지하철과 케이블카, 다리로 연결돼 있는 특이한 곳이다. 원래 교도소와 병원이 들어서있다가 중산층을 위한 아파트가 지어지면서 주거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월 2000달러 베드룸 살아”

북한 외교관들이 모여 사는 아파트는 지하철 역에서 도보로 10분 정도 떨어져있는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의 빌딩 관리 관계자는 “1베드룸(방1+거실)은 월 2000달러(약 215만원), 3베드룸은 월 6000달러(약 650만원) 수준의 월세가 형성돼 있다”면서 “북한 외교관 대부분은 1∼2 베드룸에 살고있다”고 귀띔했다.

북한은 미국의 적국인 만큼 외교관들은 연방수사국(FBI)의 철저한 감시를 받으면서 생활한다. 하지만 동시에 보호를 받는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다. 이들이 거주하는 아파트 로비로 들어서자마자 경비원들이 전광석화처럼 나타나 제지했다. 한 경비원은 “미안하지만 이 건물에는 들어오지 못한다. 촬영할 수 없다”고 출입 자체를 막았다. 밤 늦도록 아파트 앞에서 머물렀지만 북한 외교관이나 가족들은 만날수 없었다. 인근 주민은 “북한 외교관들은 일요일마다 아파트앞 축구장에서 조기축구회 활동을 한다”고 전했다.

먹거리 쇼핑은 인근 플러싱 쪽의 한인마트를 이용한다. 같은 음식재료를 싸게 많이 사서 가가호호 나눈다.  때때로 뉴저지주 한인마트까지 가서 쇼핑하고 보신탕과 유사한 흑염소탕을 파는 한인식당을 단체로 찾는다고 한다.

북한 외교관들은 본국에 자식 한 명을 놔두고 오는 게 관례다. 영국 대사로 일하다 2014년 부임한 자 대사의 경우도 장성한 자제를 북한에 두고 온 것으로 알려져있다. 친북단체인 재미동포전국연합회 소속 리준무씨는 “아이들이 자본주의식 교육에 꽤 적응을 잘하는 편”이라며 “제법 성장한 아이들은 차이나타운에 있는 학교에 다니고 간혹 미국에서 대학에 다니는 아이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외교관들은 북한 내 출신 성분이 남다르지만 뉴욕에선 생활고에 시달린다고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친북인사가 전했다. 외교관 월급이 500∼1000달러 정도인데, 이 정도로는 뉴욕에서 3∼4식구 먹고살기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 인사는 “가끔 친북인사들의 초청 모임에 나가 500∼1000달러씩 용돈을 받지 않으면 생활이 어려운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용돈을 주는 친북 인사들은 뉴욕 일대에서 부동산이나 사업으로 성공한 1세대가 대부분이다.

친북 인사 모임에서 용돈 받아

의료보험이 비싸다 보니 병원 이용은 또 다른 골치거리다. 이들은 몸이 안 좋거나 이가 아플 경우 북한에 연고가 있는 뉴욕·뉴저지 일대 한인 병원 두어 곳에서 무료로 치료를 받는다.

북한 외교관 가족의 치아를 치료한 적이 있다는 K씨는 “그들의 치아 상태가 남한 중산층보다는 못했지만 손쓰기 어려운 정도의 후진국형 치아상태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북한 외교관은 주거지에서 반경 25마일(40㎞) 밖으로 나갈 수 없다. 미 국무부의 사전허가를 받아야 가능하다. 친북인사들의 도움으로 워싱턴 벚꽃놀이, 펜실베이니아주 포코노에서의 바비큐 파티 등을 단체로 다녀온 것으로 전해진다.

한 외교관은 친북 인사에게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으로 워싱턴에 대표부가 설치돼서 불편 없이 다니게 되기를 바란다”고 희망사항을 전달했다고 한다.

북한 외교관들과 꾸준히 교류하고 있는 친북인사들은 한결같이 최근의 북·미 대화 흐름에 대해 “북한의 최신형 핵폭탄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겁을 먹어 대화에 응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