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산, 2030년 엑스포 유치 총력 “정부가 단디 밀어주이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지난 1월 부산 강서체육관에서 열린 2030 엑스포유치 시민결의 대회. [사진 부산시]

지난 1월 부산 강서체육관에서 열린 2030 엑스포유치 시민결의 대회. [사진 부산시]

‘우리의 첫 번째 월드 엑스포 2030년 부산에서’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국가 사업화 승인 기원’.

국내 첫 등록 엑스포 정부 승인 앞둬 #맥도에 추진 … 시민들 결의대회도 #국제 지명도, 인프라 여건 뛰어나 #기재부 타당성 조사 통과 가능성↑ #“수입 6조 내는 ‘흑자 엑스포’ 전망”

최근 부산시청·벡스코 등 곳곳에 붙은 펼침막 글귀다. 야간에는 광안대교·부산타워 등에서도 관련 문구가 펼쳐진다. 택시에도 나 붙었다. 2030년 월드(등록) 엑스포를 유치하려는 부산시민 염원을 담고 정부승인(국가 사업화)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지난 1월 29일 부산시민 5000여명은 강서체육관에서 유치결의 대회도 열었다.

2030 등록엑스포 부산 유치를 결정하는 정부 승인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부산시는 2016년 7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엑스포 개최를 신청했다. 정부는 지난해 2월 엑스포를 기획재정부 국제행사심사위원회의 타당성 조사사업에 선정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조사를 맡겼다. 국내 유치 여부는 조사결과 등을 바탕으로 국제행사심사위원회가 결정한다. 심사위가 유치를 결정하면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내 유치가 확정된다. 정부승인 뒤에는 정부·부산시가 올 하반기 범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활동에 들어간다. 이어 2021년 엑스포를 관장하는 국제박람회기구(BIE)에 유치신청을 한다. 2022년 BIE 실사를 거쳐 2023년 170개국이 참가하는 총회에서 개최지를 결정한다.

2030 엑스포유치 염원을 담은 시청 건물의 대형 펼침막. [송봉근 기자]

2030 엑스포유치 염원을 담은 시청 건물의 대형 펼침막. [송봉근 기자]

한국은 등록 엑스포 미개최 국가이고, 아시아권에서는 단 3차례(1970년 일본 오사카와 2005년 아이치 현 나고야, 2010년 중국 상하이) 개최된 점을 들어 부산유치에 희망을 걸고 있다. 올림픽·월드컵 성공개최로 국가 위상이 올라가 있는 점도 유리하게 보고 있다.

부산시는 낙동강 하구의 강서구 대저2동 맥도(면적 350만㎡)에서 2030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184일간 엑스포를 개최할 계획이다. 부산 개최 때는 160여 개국 5050만명(내국이 3774만명,외국인 1273만명)이 관람하고, 사업비 4조4194억원을 투입해 5조9409억원의 수입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또 생산유발 49조원, 부가가치유발 20조원, 취업유발 54만명이 예상됐다. 입장료와 광고·휘장 수입, 엑스포 종료 후 전시관 철거 뒤 용지매각 등을 하면 ‘흑자 엑스포’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개최계획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개최계획

이각규(62) 박람회 연구회장은 “부산은 국제 지명도, 인프라, 주최 측 의지 등 모든 면에서 유치여건이 좋다”며 “엑스포 유치는 일본·중국 관광객 유치, 일자리 창출, 지역 균형발전 등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등록 엑스포 vs 인정 엑스포

등록(Registered·월드) 엑스포는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국제행사의 하나로 꼽히다. 5년마다 개최되며 행사기간은 6개월이다. 등록 엑스포 개최국이 부지를 제공하고 참가국이 비용을 들여 전시관을 설치한다.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개최된 인정(Recognized) 엑스포는 3개월간 등록 엑스포 기간 사이에 열린다. 개최국이 전시관을 건축해 참가국에 유·무상 임대한다. 등록이 인정 엑스포보다 규모가 크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