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은 그냥 줄이면 되는 거 아닌가요?

중앙일보

입력

좋은 논술을 위한 기본기 중 하나는 요약 능력. 많은 학생들은 '긴 제시문의 문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요약'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권부장과 중앙샘은 제이의 논술을 통해 드러난 요약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고자 한다.

#요약에 대한 오해

권부장: 제이야, 요약이란 무엇일까?

제이: 글쎄요, 글자 수를 줄이는 문장 기술 아닌가요?

중앙샘: 단순히 글자 수를 줄이는 것 이외에 또다른 게 있진 않을까. 사실 요약 능력도 여러 가지 논술 시험 채점 잣대 중 하나란다.

제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요.

권부장: 요약문 문장 하나, 단어 하나에도 필자, 즉 제이의 생각이 들어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야. 요약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자꾸나.

#요약문도 하나의 완결된 글이다

제이: 그러니까 요약문 역시 '나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신가요?

중앙샘: 그렇지. 또 요약 자체도 하나의 완결된 글이므로 주장과 근거, 인과관계 등이 분명하게 표현돼야 해. 단순히 제시문의 글자 수나 단어 수를 줄인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장이 나와야 하는 거지. 이것을 재구성이라고 한단다.

권부장: 기자들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보도자료를 건네 받아 기사를 작성할 때도 재구성이 필요하단다. 제한된 지면에 필요한 사실들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용을 재확인하고 추가 정보를 파악한 후, 내용의 중요도에 따라 다시 구성하는 요약과 재구성을 거친단다.

제이 : 아하. 그러니까 주어진 제시문이 제 머릿속에서 걸러져서 나오면 그게 요약문이 되는 거군요.

권부장: 그래, 이해가 빠르구나. 한마디로 네가 필터(filter)가 되는 거지.

중앙샘: 요약은 요약만으로 머무르는 법이 없단다. 기출 문제들을 봐도 단순 요약을 요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 제시문을 요약하고 이에 대해 비판하라든가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의미를 밝히라는 식의 응용 문제가 출제되지.

#요약하기 연습(단문부터 차근차근)

제이: 그렇다면 요약하기는 어떻게 연습해야 하나요?

권부장: 처음부터 전체 문장을 한꺼번에 요약하려고 하지 말고 차근차근 해나가야 한단다.

중앙샘: 먼저 제시문을 문단 단위로 끊고 번호를 매겨 보는 거야. 그리고 번호마다 각각 짧은 글로 요약한단다.

제이: 너무 복잡한데요. 그러니까 긴 글을 짧은 단위로 나눈 다음 하나씩 요약하라는 말인가요?

권부장: 그래, 잘 이해했구나. 그런데 짧은 요약이 완결된 문장일 필요는 없단다. 키워드 단위로 표시했다가 마지막에 문장으로 정리해도 되지. 익숙해지면 점점 큰 단위로 나누다가 결국 글 전체를 통째로 요약할 수 있게 된단다.

제이: 어휴, 그렇게 통째로 요약하기까지 굉장히 오래 걸릴 것 같아요.

#요약하기 연습(여러 번 요약해보기)

중앙샘 : 제이야, 똑같은 책을 두 번 읽은 적 있니?

제이: 예. 어릴 적 동화책을 읽었을 때 재미있어서 여러 번 읽어 봤어요. 요즘에도 어려운 책을 두어 번 읽었던 적이 있어요.

중앙샘: 그래, 읽을 때마다의 느낌은 어땠니?

제이: 조금씩 달랐어요. 내가 이 책을 읽었었나 싶을 정도로 완전히 새로운 느낌일 때도 있었어요. 처음 읽을 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내용을 발견하기도 해요. 그런데 선생님, 이것이 요약하기와 관련이 있나요?

권부장: 물론 관련이 있지. 읽기와 쓰기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란다. 같은 책을 첫 번째 읽을 때와 반복해 읽을 때 서로 다른 느낌을 갖게 되듯이, 같은 주제에 대해 어제 쓸 때가 다르고, 오늘 쓸 때가 다르단다. 같은 주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면 할수록 글 하나의 제시문을 여러 번 요약할 수도 있고, 요약된 문장을 다시 재요약하고 재구성할 수도 있지.

제이 : 요약문을 요약하고, 또 그 요약문을 요약하면 글자가 모두 없어지겠군요.

중앙샘 : 하하하. 그렇지는 않단다. 중심 문장과 키워드는 항상 따라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줄일 수 없을 때까지 요약하면 되는 거야. 이런 과정을 퇴고라고 하질 않니.

제이: 그렇게 여러 번 요약하는 이유가 뭐죠?

중앙샘: 한 번 요약한 문장이 완벽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야. 네가 요약했던 글들을 비교해 보면서 잘못된 점을 고쳐나가면 완벽한 요약문을 작성할 수 있을 거야.

권부장: 수십년간 기사와 논설을 작성해온 기자들도 매일, 매번 이 같은 과정을 반복한단다. 현장기자가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를 편집 과정에서 다시 다듬지. 기자의 글은 데스크와 에디터들이 참여해 군더더기를 없애고 핵심을 짚는 요약문으로 재구성된단다. 가장 대표적인 요약문이 바로 기사의 제목이란다.

제이 : 그렇군요. 저도 열심히 노력해서 완벽한 요약문을 써볼래요.

<제이의 일기>

논술에서 요약이 얼마나 중요한지 오늘 처음 알았다. 그런데 이제까지 왜 요약을 단순히 글자 수 줄이기로 알고 있었을까.

"요약은 제시문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나로부터 시작한다"는 권부장님의 말씀이 떠오른다. 권부장님과 중앙선생님께서 말씀해주신 대로, 마치 계단을 밟아나가듯 차근차근 요약하기 훈련을 해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