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철강업 살리려면 관세 부과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주지사들과 연례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주지사들과 연례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미국 철강업 회생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관세 폭탄’ 부과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26일 주지사들과 회동에서 “대가 치르더라도 일자리 얻게 될 것” 강조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선 반대 의견 나와…매티스 “주요 동맹국에 미칠 영향 우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주지사들과 회동에서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을 다시 부흥시킬 것이다. 수입제품에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면 부과토록 해야 한다”며 “치러야 할 대가가 좀 더 생길지 모르지만 우리는 일자리를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백악관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와 관련된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앞서 미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수입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특정 국가에 대한 초고율 관세 적용, 일률적인 고율 부과, 쿼터제 부과 등 세 가지 제안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했다.

철강의 경우 한국을 비롯한 12개 국가에 53%의 관세를 적용하거나 모든 국가에 일률적으로 24%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11일, 19일까지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제재 계획을 확정한다.

지난 10월 방한해 판문점을 방문한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지난 10월 방한해 판문점을 방문한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 트럼프의 ‘관세 폭탄’ 조치와 관련된 반대 의견이 나오고 있다.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 게리 콘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하셋 백악관 경제자문위(CEA) 위원장 등이 무역확장법 232조 보고서를 제작한 윌버 로스 상무장관을 두고 “끔찍한 일을 한다”고 여겼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자유무역론자와 보호무역론자 사이에 벌어진 이념 논쟁의 연장선”이라고 해석했다.

 특히 매티스 장관은 “국방부는 보고서의 제안들이 주요 동맹국들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상무부 보고서 안에 명시된 ‘불공정한 무역 관행’이란 표현 주체를 ‘중국’으로 특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