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유엔서 위안부 언급 “피해자 중심 접근 결여 인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막한 제37차 유엔인권이사회(UNHRC) 총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과 위안부 소녀상(오른쪽) [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막한 제37차 유엔인권이사회(UNHRC) 총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과 위안부 소녀상(오른쪽)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37차 유엔인권이사회 총회 기조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했다.

위안부 합의 이후 국제무대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정부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그동안 한국 정부는 2015년 12월 위안부 합의 내용에 따라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강 장관은 연설에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피해자 중심 접근이 결여돼 있었음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피해자, 가족, 시민단체와 협력하겠다"면서 "과거의 잘못이 반복되지 않도록 현재와 미래의 세대가 역사의 교훈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일본은 언급하지 않고, 전쟁 기간의 성범죄라고 말했다.

아울러 강 장관은 북한에 핵과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고 북한 주민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또 세계 각국에서 터져 나온 '미투 운동'을 지지하며 성평등을 위해 얼마나 더 노력해야 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외교부 장관으로서 처음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에 나선 강 장관은 27일  유엔 제네바 사무국에서 열리는 군축회의에도 참석해 기조연설을 한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