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곤 장관 후보자 국립극장장 시절 딸에 허위 봉사 확인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회 문광위 소속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은 21일 "김 후보자의 장녀가 고3이던 지난해 국립극장에서 고객만족도 설문조사 관련 봉사활동을 한 달 동안 36시간 했다는 확인서를 극장 측으로부터 받아 학교에 제출했다"며 "장녀의 지난해 봉사실적 총 46시간 중 약 80%를 아버지가 수장으로 있는 극장에서 한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그러나 국립극장 측에 확인한 결과 확인서를 발급해준 모 팀장은 '기간과 시간이 부풀려진 허위 확인서를 발급했다'는 것을 시인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또 "김 후보자의 부인이 장녀와 함께 2002년 3월부터 5개월간 현 주소지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를 떠나 도곡동으로 이사한 것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명문고 진학을 위한 위장전입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같은 당 정종복 의원은 "김 후보자가 국립극장장으로 재직하던 2001년 3월 공시지가가 약 700만원인 전북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소재의 토지 689㎡를 구입하면서 계약서에 매매가를 25만원으로 작성했다"며 매매가 축소나 헐값 매입 의혹을 제기했다. 박형준 의원은 "김 후보자가 산 땅은 인근 지역이 태권도공원 부지로 지정되면서 구입 당시 공시지가가 ㎡당 1만1000원에서 지난해 ㎡당 4만300원으로 폭등했다"며 투기 여부 규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 측은 "딸이 국립극장과 설문조사 연구책임자가 근무하던 동국대를 오가며 36시간의 봉사활동을 했다"며 "직원은 극장에서 본 시간만 답변했기에 오해가 생긴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무주 땅 매입에 대해선 "1997년 문화예술인 등 45명이 산골에 마을을 조성하기로 하고 개발에 들어간 것이며 실제로 토지를 25만원에 샀다"며 "마을 조성 당시 태권도공원 계획 등은 수립이 안 된 상태였으므로 개발이익을 노렸다는 주장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위장전입 의혹 역시 "원래 살던 곳에서 학교 배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나리.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