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내부고발자 보호하는 제도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5일 연구.교육.사회활동에서 서울대 교수들이 준수해야 할 사항을 담은 '교수윤리헌장'을 발표한 정운찬(사진) 총장. 황우석 파문으로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던 그는 현재 학내 연구윤리를 바로 세울 방안을 찾으려고 고심 중이다. 정 총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연구부정행위를 사후 조사하는 것보다 예방하는 것이 백 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윤리에 대한 관심이 큰데 요즘 구상하는 대책은.

"오늘 공포한 '교수윤리헌장'도 연구 윤리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여기에 연구부정행위 금지, 교수의 대학원생. 연구원 존중, 연구비 수주.집행 과정의 책임과 의무, 공동연구자의 권리 침해 금지가 포함된다.

교수나 연구원들의 자료조작.표절 같은 연구부정행위를 조사할 '연구진실성위원회' 설치도 준비 중이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한다."

-연구진실성위원회는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나.

"연구 부정행위를 조사한다. 실제 연구에 참가한 연구자의 자발적 제보가 있어야 비윤리적 행위를 초기에 바로잡을 수 있다. 그래서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발 창구는 신설할 연구진실성위원회에 둘 방침이다."

-논문 표절.대필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학계가 깊이 자성해야 한다. 국내 석.박사학위 과정이 너무 많다. 인구 1000명당 박사 수는 한국이 약 6명으로 미국의 4명, 일본의 2명보다 많다. 모든 학교가 학위과정을 늘리다 보니 생긴 현상이다. 학생 유치에 급급해 심사가 허술해질 수밖에 없다. 방만한 대학원 과정, 석.박사 학위 수도 줄여야 한다."

-논문의 양보다 질을 중시해야 하는 것 아닌가.

"지난 30년간 일군 양적 성장을 토대로 질적 도약을 이뤄야 한다. 이제는 실력으로 세계 학계를 이끄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와야 한다. 그러려면 지금까지 소홀히 다뤘던 연구윤리를 확립해야 한다. 또 연구 중심 대학과 교육 중심의 대학으로 나눠 필요한 곳에 지원하는 '집중과 선택'이 필요하다."

-황우석 파문 뒤 관련자들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 발표가 늦어지고 있다.

"검찰 수사와 관계없이 징계는 진행한다. 논문 조작은 학교의 명예와 관련해 서울대가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취재팀>

◆ 허귀식.천인성.박수련 탐사기획부문 기자, 임미진 경제부문 기자, 변선구 사진부문 기자

◆ 제보 <=deep@joongang.co.kr>, 홈페이지(deep.joins.com), 02-751-5677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