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부진 해법은 서비스 산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투자 부진이 성장기반을 갉아먹는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투자를 진작하려면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5일'투자부진 탈출의 활로-서비스 산업'보고서에서 '제조업 투자 확대는 한계에 달해 성장 여력이 큰 서비스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설비투자는 1990~97년 연평균 7.8% 늘었으나 2000~2005년 1.1%에 머물렀다. 한국경제를 이끈 철강.조선.자동차 등 전통 주력산업이 외환위기 이후 설비투자에 힘을 덜 쏟기 때문이다. 공급과잉, 투자비용 상승 등으로 전통 제조업의 투자 확대는 여의치 않다는 진단이다.

반면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2004년 기준)은 49.3%로,70%를 웃도는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그만큼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이다. 더욱이 서비스업의 취업유발 계수(10억원 투자 때 창출되는 일자리 수)는 2000년 현재 24.3명으로 제조업의 14.4를 크게 웃돈다.

정형민 수석연구원은 "서비스업 투자 촉진을 위해서는 의료.통신.방송 같은 공공성이 강한 분야의 진입규제를 완화하고 유통.교육.운수.문화.관광 등 시설의 입지가 중요한 분야는 입지 규제를 과감히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제조업 위주의 대기업 집단이 서비스업에 진출할 수 있게 출자총액제한제도를 완화하거나 폐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