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폭 소년' 사진 실은 교황의 연하장…세계 지도자의 신년사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18년을 맞아 전 세계의 지도자들이 신년 메시지를 발표했다. 각국의 상황과 국제 정세가 반영된 신년사를 통해 올해 전 세계가 당면한 주요 이슈를 읽을 수 있다.

1945년 나가사키서 찍은 사진 #교황이 직접 선택해 연하장에 #우회적으로 북핵 우려 표명한 듯 #시진핑, 빈곤 탈출에 방점 찍고 #아베, 자민당 총재 3선 의욕 과시 #마크롱, 강력한 유럽 통합 강조

그중 가장 주목받는 것은 원폭 피해 소년의 사진을 실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연하장이다. 1945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촬영된 흑백사진으로 이맘때의 들뜬 분위기와는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그럼에도 굳이 이 사진을 선택한 데 대해 교황이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연하장에 실린 '원폭 소년' 사진. 1945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촬영됐다. [교황청 제공=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연하장에 실린 '원폭 소년' 사진. 1945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촬영됐다. [교황청 제공=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연하장 뒷면엔 '전쟁의 결과'라는 문구가 써 있다. [교황청 제공=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연하장 뒷면엔 '전쟁의 결과'라는 문구가 써 있다. [교황청 제공=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교황은 연하장에 실릴 사진을 직접 골랐다. 처음 있는 일이다. 연하장 뒷면에 자신의 서명과 함께 ‘전쟁의 결과(il frutto della guerra)’라는 문구를 적으라는 지시도 내렸다.
연하장엔 사진에 대한 설명도 붙었다.
‘숨진 동생을 등에 업고 화장터에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소년. 원자폭탄이 투하된 뒤 미국인 사진사 조셉 로저 오도넬이 촬영했다. 입술을 꽉 깨물어 피가 흐르는 모습으로 아이의 슬픔이 표현된다’

설명대로 사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병대 사진사였던 오도넬이 촬영했다. 그는 전후 4년간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머물며 전쟁의 참상을 기록했고, 2005년 『일본 1945년: 그라운드 제로에서 온 한 해병대 사진사』라는 사진집을 펴냈다. 연하장의 사진도 이 사진집에 실렸다.

31일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에서 송년 미사를 집전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 [EPA=연합뉴스]

31일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에서 송년 미사를 집전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 [EPA=연합뉴스]

CNN의 바티칸 분석가인 존 앨런은 “연하장에서 교황의 입장이 크게 추가된 것은 없다”면서도 “그가 사진을 직접 선택한 것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의 메시지는 현 상황과 특별히 관련이 있다”고 해석했다.
그는 또 교황이 핵무기를 규탄하고, 전쟁이 어린이들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해 왔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런 점을 고려했을 때 교황이 연하장을 통해 북핵을 둘러싼 긴장 상황에 대해 우회적으로나마 우려를 표명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31일 발표한 신년사는 ‘탈(脫)빈곤’에 방점을 찍었다. 신년사에서 시 주석은 “2020년까지 농촌 빈곤 인구의 탈빈곤을 실현하는 것이 우리의 장엄한 약속”이라며 “전 사회가 일어나 최선을 다해 새로운 승리를 쟁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함께 이 임무를 완수하는 것은 중화 민족과 인류 모두에 중대한 의의가 있는 위대한 업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내년이 개혁개방 40주년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개혁개방은 중국 발전과 진보에 있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길이다. 우리는 개혁개방 40주년을 계기로 산을 만나면 길을 뚫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으면서 개혁을 끝까지 완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연두소감에서 “새로운 국가 만들기를 향해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작년 중의원 선거 공약이었던 ‘전 세대형 사회보장’을 언급하며 “올해는 실행의 1년이다. 2020년, 그 이후를 바라보겠다”고 강조했다.
올가을 치러질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3선에 의욕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관련해선 “의연한 외교를 전개해 어떠한 사태가 있더라도 국민의 생명과 평화로운 삶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전 유럽인을 향해 통합을 강조하는 신년 메시지를 발표했다. 그는 31일 TV로 중계된 연설에서 “유럽의 시민들은 민족주의자와 분리주의자들에 굴복하지 않는다”며 “유럽을 더 통합되고, 더 독립적이며, 더 민주적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이어 “유럽이 경제적·사회적·환경친화적 힘을 가져 중국과 미국에 대응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프랑스는 강한 유럽 없이 성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유럽의 통합을 강조했다. 그는 “유럽의 27개국은 공동체로 남기 위해 어느 때보다 강력히 나아가야 한다”며 “독일과 프랑스는 이에 성공하기 위해 공조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 연립 정부 구성 실패와 관련 “지난 한 해 우리 사회의 응집력에 대한 걱정을 많이 들었다. 일부에선 분열에 대해 이야기도 했다”며 “새 정부를 신속히 구성해 세계의 도전에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도쿄=예영준·윤설영 특파원, 서울=홍주희 기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