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위안부 합의, 피해자 소통 부족…모든 옵션 놓고 정책 검토”

중앙일보

입력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재외공관장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재외공관장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6일 한·일 간 12·28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합의가 나오기까지 정부가 피해자들과 소통하는 부분에서 상당히 부족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향후 정부 정책 방향에 있어) 모든 옵션을 열어놓겠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내신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 활동과 관련해 “예상할 수 있는 결론이지만 (TF가) 충분히 증거를 갖고 검토한 상황”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TF는 한·일 정부가 위안부 합의에 이른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7월 발족했으며, 27일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강 장관은 “국민의 70%가 받아들이지 못하고 피해자들이 흡족해하지 못하는 합의를 정부가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 모든 옵션을 열어놓고 이 분들과 소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이 언급한 ‘모든 옵션’에는 합의의 보완이나 파기도 포함된다.

그는 이런 정책 수립 과정에서 피해자들의 의견이 상당 부분 반영될 것이라는 점도 시사했다. 강 장관은 “TF도 피해자 단체들과 자주 만나 그 분들의 의견을 들었다. 하지만 TF 결과 보고서에 정부에 대한 정책적 건의는 담기지 않는다”며 “그래서 TF 결과를 십분 수용하되, 이 문제의 직접 당사자인 피해자, 지원 단체와의 소통을 통해 (정책을)정립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TF 결과 보고서를 통해 일본과의 외교 교섭 내용이 상당 부분 공개될 경우 국제사회의 불신을 살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이 문제는 당사자인 피해자가 있는 인권 문제라 다른 외교 사안과 다른 특수성이 있다. 국가 간 안보 문제, 북핵 문제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또 “그런 것을 다 감안해 TF가 관련한 모든 외교(활동, 기록)를 볼 수 있는 접근성을 가진 상황에서 활동했고 그런 검토 결과가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내년에 추가적 도발도 가능하고 대화 국면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의 신년사를 모두 지켜보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며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대화와 추가 도발 시 어떻게 해나갈지 다 가능성을 열어놓고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평창 겨울올림픽과 관련해 “이를 계기로 북한 비핵화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외교적 노력이 진전될 수 있도록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참가 여부가 올림픽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북한이 오면 남북 간 고리가 접촉 고리가 생기고, 북핵 문제에서도 모멘텀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다. 하지만 북한이 오지 않는다고 해도 평창 올림픽은 성공적인 올림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평창 올림픽에 참석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정상이 43분, 참석하겠다고 확인한 분은 15분 정도”라고 확인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의 아랍에미리트(UAE) 방문과 관련 “청와대가 일정 등 모든 것을 주도하고 외교부는 지원했다. UAE가 중동 지역에서는 우리의 유일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이고 그 관계가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특사가 파견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대화의 상대가 향후 UAE 국왕이 될 왕세자라는 점에서 외교적 (대화)내용에 대해서는 비공개 원칙을 철저히 준수해야하기 때문에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유지혜·박유미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