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전쟁 용납 않겠다" 文·시진핑, 평화 4원칙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서대청에서 열린 MOU 서명식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서대청에서 열린 MOU 서명식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習近平)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4가지 원칙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한반도 비핵화 원칙 확고하게 견지” #“한반도에서 전쟁은 절대 용납 못해” #“북핵, 대화·협상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 #“남북관계 개선, 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 해결에 도움”

두 정상이 합의한 4대 원칙은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한반도의 비핵화 원칙을 확고하게 견지한다 ▲북한의 비핵화를 포함한 모든 문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한다 ▲남북한 간의 관계 개선은 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등이다.

두 정상은 양자 방문 및 다자 정상회의에서의 회담뿐 아니라 전화 통화, 서신 교환 등 다양한 소통 수단을 활용해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을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경제, 통상, 사회, 문화 및 인적 교류 등을 중심으로 이뤄져 오던 양국 간 협력을 정치, 외교, 안보, 정당 간 협력 등 분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상 차원은 물론 다양한 고위급 수준의 전략적 대화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안정과 번영을 위해 한·중 양국은 물론 관련 역내 국가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미·중, 한·중·일 등 다양한 형태의 3자 협의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두 정상은 북한의 도발 중단을 강력히 촉구하는 시간도 가졌다. 특히 시 주석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와 관련해 중국 측 입장을 재천명하고 한국 측이 이를 계속 중시하면서 적절히 처리할 것을 희망했다. 중국중앙TV(CC-TV)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반드시 흔들림 없이 견지해야 하며 전쟁과 혼란은 절대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CCTV는 이어 시 주석이 “중한 양국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공동 이익이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중국 측의 사드 문제에 대한 입장을 재천명하면서 “한국 측이 이 문제를 계속해서 적절히 처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현지 브리핑에서 “두 정상은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이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관련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긴밀한 협력과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평창 동계올림픽이 양국 간 인적교류를 활성화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평창 동계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해 한반도와 동북아는 물론 전 세계 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장이 되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평창 올림픽 참석을 초청했고, 시 주석은 진지하게 검토하겠다면서 만약 참석할 수 없게 되면 반드시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했다.

양 정상은 평창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는 게 남북관계 개선 및 동북아 긴장 완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국빈 방중 초청과 따뜻한 환대에 감사의 뜻을 표하고 이번 방중이 양국 간 아름다운 동행의 새롭고 좋은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했다. 시 주석은 난징대학살 80주년 계기에 문 대통령이 따뜻한 추모의 뜻을 표명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