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수역 사고, 출근 3일 만에 사망…“30분 먼저 현장 투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4일 오전 지하철 1호선 온수역에서 선로 작업 중 사망한 30대 작업자는 출근 사흘 만에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온수역.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 1호선 온수역. [연합뉴스]

특히 예정된 작업 시간보다 30분가량 먼저 더 일찍 현장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그 과정에 관심이 집중된다.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께 열차에 치여 숨진 전모(35)씨는 동료 2명과 함께 배수로 칸막이 작업 중이었다.

관련기사

전씨는 1호선을 운영하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아니라 공사를 담당한 외주업체 소속으로, 인력사무소에서 파견된 일용직 노동자라고 코레일 측은 밝혔다. 이날은 전씨가 출근한 지 3일째 되는 날이었다.

전씨의 예정 작업 시간은 당초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였다. 코레일 관계자는 “작업에 투입되기 전에 현장감독자가 역으로 와서 역장과 협의를 하고 승인받은 뒤에 들어갔어야 했는데 먼저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씨 등이 왜 예정된 시간보다 일찍 들어갔는지, 작업 준비를 위한 것이었는지, 역장의 승인 없이도 선로에 나갈 수 있는 구조인지 등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SBS 뉴스 화면 캡처]

[SBS 뉴스 화면 캡처]

전씨의 빈소가 마련된 구로구의 한 장례식장은 유족이 자리를 지켰다. 전씨의 어머니 이모(63)씨는 “매일 공사 일을 하면서 받은 돈의 일부를 엄마 화장대에 꽂아놓고 가던 착한 아들이었다”며 눈물을 훔쳤다.

코레일 측은 이번 사고와 관련, 보도자료를 내고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면서 “사고로 열차 이용에 불편을 겪은 시민 여러분께도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경찰은 철도공사 관계자와 함께 현장 감식을 하는 한편, 전 씨와 작업하던 동료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와 안전 대책 준수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한편 지하철 선로작업 중 발생한 사망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6월엔 노량진역에서 보수작업 공사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해 선로 위를 걸어가던 김모(57)씨가 열차에 치여 숨졌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