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펀드 시장 살리기, 우체국서도 펀드 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내년부터 우체국에서도 펀드를 판매한다. 금융 당국은 인터넷은행과 농협·신협 단위조합에도 펀드 판매사 신규 인가를 해줄 계획이다.

인터넷뱅크·농협·신협 등 포함 #금융위, 내년부터 허용하기로 #1년 뒤 싼 수수료 갈아타기도 가능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자산운용시장 발전 방안’을 13일 발표했다. 수탁액이 정체 상태인 공모펀드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와 관심을 되살리기 위해서다.

우선 대형 은행·증권사에 쏠린 펀드 판매 시장의 경쟁을 촉진한다. 이미 펀드판매사 예비인가를 신청한 우정사업본부에 내년 중 신규 인가를 내주기로 했다. 또 상호금융기관(농협·신협 단위조합)과 인터넷은행도 신청하면 펀드 판매를 허용할 방침이다. 이미 농협 단위조합 중엔 한 곳(북서울농협)이 펀드를 판매 중이고, 이달 중 네 곳이 추가로 인가받을 전망이다.

금융 당국은 우체국이나 인터넷은행이 뛰어들면 펀드 판매 시장의 ‘메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우체국의 경우 정부기관이기 때문에 인건비나 임대료 같은 관리비용이 적어 판매수수료를 낮출 수 있다. 인터넷은행 역시 오프라인 지점이 없다 보니 가격 경쟁력이 앞선다. 박정훈 금융위 자본시장국장은 “이미 인터넷은행 출범 뒤 (은행권의 변화) 사례에서 보듯 펀드시장도 판매보수 등에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공모펀드에 가입한 뒤 1년이 지나면 수수료가 저렴한 클래스 펀드로 갈아탈 수 있는 길도 내년 하반기부터 열린다. 현재 공모펀드는 판매보수가 운용보수의 1.4배에 달한다(평균 판매보수율 0.352%, 운용보수율 0.273%). 미국·일본 등은 운용보수와 판매보수가 같고, 영국은 판매보수가 운용보수의 절반 수준이다.

판매보수는 펀드계좌 관리와 투자자문 등에 대한 대가이지만, 정작 환매할 시점엔 투자자문을 제대로 받지 못한다는 불만도 많았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기존 투자자가 신청하면 판매보수가 저렴한 온라인 클래스(클래스명에 알파벳 ‘E’나 ‘S’ 포함) 또는 클린 클래스(알파벳 ‘G’ 포함)로 갈아탈 수 있다. 이 경우 판매보수가 일반 펀드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