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해신공항 흔들어 가덕신공항? … “내년 선거에 이용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지난해 6월 7일 부산 여성단체 회원들이 가덕도에서 신공항 입지 선정을 촉구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지난해 6월 7일 부산 여성단체 회원들이 가덕도에서 신공항 입지 선정을 촉구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부산·경남의 국회의원 등 정치권이 김해 신공항 대신 가덕도 신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런 주장에 김해 신공항의 소음 문제가 더해져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은 내년 지방선거의 최대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하지만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들여 김해 신공항 입지가 결정되고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데도 정권이 바뀌었다고 가덕도 신공항 얘기를 꺼내느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24시간 운영 가덕신공항 재추진을” #부산·경남 일부 여당 의원들 주장 #내년 지방선거 최대이슈 떠오를듯 #부산 시장 “5개 시·도 합의 뒤집나” #시민단체도 “대통령 공약 지켜져야”

정치권 주장의 핵심은 김해 신공항은 소음 때문에 지금의 김해공항처럼 오후 11시부터 오전 6시까지 비행기가 운항하지 못하면서 영남권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재호(부산 남구을) 의원은 지난 10일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면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 육로·항만 물류가 있는 부산신항 옆 가덕도에 24시간 운영할 신공항을 만들어야 영남권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아니면 논의 기회도 없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전재수(부산 북·강서구갑) 의원도 “김해 신공항이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면 가덕 신공항이 답”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김경수(김해를) 의원은 가덕도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10만명으로 예상되는 김해의 소음피해 대책이 불가능하면 김해 신공항 입지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 신공항 건설 반대대책위원회 등이 “지금도 소음이 심한데 활주로 1개가 추가되면 항공기 운항편 수가 늘어 밤낮으로 심한 소음에 시달린다”며 대책을 호소하는 걸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자유 한국당 김해 갑·을 당협위원장 등 야권도 소음을 이유로 김해 신공항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하지만 부산시 입장은 단호하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달 16일 기자회견에서 “김해 신공항 흔들기를 당장 중단하라”며 반발했다. 지난 6일 페이스북에는 “5개 시·도 지사가 합의한 입지 결정을 뒤집겠다는 거냐”며 “김해 신공항이 아니라면 당장에 가덕신공항 건설을 약속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내놓으라”고 정치권에 촉구했다.

일부 정치권 주장에도 가덕도 신공항의 재추진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김해 신공항 건설이 대통령 공약인 데다 이미 많은 행정절차가 진행됐고, 국토교통부도 차질없이 추진하고 있어서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김해 신공항 건설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지난 4월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김해 신공항은 내년 8월 완료 예정으로 기본계획수립 용역(내년 예산 64억원)이 진행 중이다. 기본계획은 개발 예정지 범위, 공항시설 규모·배치, 접근 교통시설 등 공항시설·운영계획을 확정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지난 6월 착수한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거쳐 항공기 소음피해 대책을 기본계획에 반영한다. 이어 국토부는 2018년 하반기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2019년 기본·실시설계에 들어간다. 2026년 김해 신공항 개항을 목표로 5조9576억원을 들여 연간 3800만명이 이용할 수 있는 3.2㎞의 새 활주로와 국제여객터미널, 접근 교통시설 등을 짓기 위해서다.

이에 대해 강경태 신라대 국제학부 교수는 “20년 논쟁 끝에 김해 신공항 건설이 국책사업으로 확정됐다. 다소 문제가 있어 만족하지 못해도 주민을 설득·보상하고 문제를 해결해 관문공항으로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덕도 재추진은 혼란만 키운다”고 말했다. 박인호 신공항 추진 부산시민 운동본부 대표는 “김해 신공항을 선거 쟁점화해서는 안 된다. 지난 4월 대통령의 약속대로 인천공항의 대체공항,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