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개월째 총장 공석인 공주대.. 정권바뀌어도 총장 선출 난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정부가 적격 후보 판단한 후보, 학교 구성원들 수용반대 #2014년 3월 박근혜 정부 1순위 후보자 총장임용 거부, 직무대리체제 #공주대 새로 후보자를 선정해 추천해달라고 교육부에 요청 방침 #

충남 공주시 신관동 공주대 정문. [사진 공주대]

충남 공주시 신관동 공주대 정문. [사진 공주대]

46개월째 총장이 공석인 공주대가 총장 선출을 둘러싸고 정권이 바뀌었는데도 갈등을 지속하고 있다. 교육부가 적격 판단을 한 총장 후보에 대해 대학 구성원들이 ‘총장 임용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모았다.

해당 총장 후보 측은 투표 과정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다. 공주대는 박근혜 정부 때 총장 부재 사태를 겪은 전국 10개 국립대 가운데 공석 기간이 가장 길다.

10일 공주대에 따르면 지난 5일 교육부가 적격 후보자로 결론 내린 김현규 교수에 대해 구성원 의사를 확인한 온라인 투표 개표 결과 562명 중 493명(87.72%)이 ‘임용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수용 의사를 밝힌 구성원은 69명이었다. 투표에는 전체 유권자 1008명 중 55.75%가 참여했다. 이에 따라 공주대는 새로운 절차를 거쳐 후보자를 선정해 추천해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할 방침이다.

이런 결과가 나오자 김 교수 측은 '대학본부가 무단 강행한 투표'라는 입장이다. 온라인투표금지 가처분 신청을 심리한 법원 조정 결과대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재판부가 심리 과정 중 시 선거관리위원회 주관으로 투표를 진행하라고 했는데도 대학본부가 이를 지키지 않았다”며 “절차에 흠이 있는 데도 그대로 투표를 하고서 결과를 발표한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 공주시 신관동 공주대학교 정문. [사진 공주대]

충남 공주시 신관동 공주대학교 정문. [사진 공주대]

앞서 공주대 교수회와 총학생회, 지역 사회단체는 “적법한 선거로 선출된 총장 후보를 이미 교육부에 추천했는데, 다시 대학 의사를 확인하는 건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해당 절차를 폐기할 것을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공주대는 2014년 3월 박근혜 정부 당시 교육부가 총장임용 1순위 후보자인 김현규 교수에 대해 총장임용을 거부했다. 이후 공주대는 총장 직무대리 체제를 운영 중이다.

교육부는 최근 기존 후보자를 재심의해 김현규 교수에 대해 총장임용 적격 판정을 내리고, 이를 수용할지를 놓고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라고 통보했다.

공주=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