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비상 걸린 평창 올림픽 … 스포츠 외교 총력전 펼쳐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평창 올림픽에 비상이 걸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도핑을 주도해 왔다는 이유로 러시아의 평창 올림픽 참가를 금지했다. 여기에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북한 상황에 따른 안전 문제로 미국의 참가가 ‘아직 미확정’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러시아는 겨울올림픽의 양대 국가다. 두 나라가 불참하면 평창 올림픽은 개최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내용과 흥행에 타격을 받게 된다. 러시아는 개인 자격 출전을 허용할 가능성이 크고, 미국은 불참 가능성이 아직 크지 않다지만 두 달 남은 평창 올림픽은 큰 위기를 맞게 됐다.

‘약물 없는 깨끗한 올림픽’ ‘평화롭고 안전한 올림픽’이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올림픽 개최 목전에 두 국가의 불참이 거론되는 것은 우리 스포츠 외교 측면에서 생각해 볼 대목이다.

BBC 등 외신에서는 벌써 IOC와 러시아 간 ‘거래설’이 돌고 있다. 이번 징계가 러시아의 2020년 도쿄 올림픽의 정상적 출전을 위한 ‘면죄부’라는 의혹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평창은 도쿄의 희생양이라는 것 아닌가. 또한 맹방인 미국마저 머뭇거릴 정도로 안심을 못 시켰단 말인가. 그동안 공들여 역량을 키워 왔다던 우리 스포츠 외교는 뭘 했나. 혹여 북한의 올림픽 참가에 매달려 평창을 둘러싼 국제적 물밑 흐름은 읽지 못한 것 아닌가.

지금부터라도 평창의 성공을 위해 정부는 모든 힘을 쏟아야 한다. 러시아의 경우 다행스럽게 푸틴 대통령이 개인 출전 허용을 시사했지만, 공식 결정은 12일 러시아 올림픽 회의에서 내려진다. 러시아 내 만만찮은 보이콧 여론을 가라앉히기 위해 러시아 정부와 국민, 선수들을 설득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미국과는 철저한 안보 협력을 통해 불안감을 불식시켜야 한다. 가뜩이나 걱정스러운 평창 올림픽 흥행에 이제 미국과 러시아 변수까지 생겨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