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사태 당시상황 증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주화합 추진위는 4일 하오 배근수(광주사태 유족 대표) 이광노(수출디자인포장센터 이사장·당시 국보위 조사단장) 소준열(당시 광주지구 계엄사령관) 한도희(85년 퇴직·당시 광주 교도소장) 김용상(법무청 동원국장·당시 광주 병무청장)씨 등으로부터 광주사태에 대한 참고인 증언을 듣는다.
이에 앞서 민화 위는 3일 하오 이광영(5·18 부상자회 부회장) 정시채 (민정당 의원·당시 전남 부지사) 씨의 증언을 들었다.
이광영 씨는 자신이 겪은 체험담을 중심으로 시위발발에서부터 시위상황, 계엄군 진압 과 정 등을 소상히 밝히고 『광주사태는 광주의거로 그 개념이 바뀌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광주 문제의 해결은 먼저 정확한 진상규명이 이뤄진 상태에서 책임자에 대한 의법조치, 광주시민의 명예회복이 이뤄져야하며 그 뒤 유가족·부상자 등 피해자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보훈 대상자로의 예우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관계기사 3면>
이씨는 『당시 계엄군이 시체를 청소차에 실어 매장한 장소를 알고 있던 구청 청소과 운전사 기종도 씨가 아무런 이유도 없이 5·18 사건 후 교도소로 끌려가 죽어 나왔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예와 당시 수많은 시민이 직접 눈으로 확인한 사상자수만 보더라도 정부가 발표한 사망자 1백 97명, 부상자 1천여명은 터무니없이 적은 숫자』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행방 불명 자에 대한 신고를 하면 제대로 접수를 받아주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당시 승려의 신분으로 시위에 가담, 적십자 병원의 자원 요원으로 부상자 수송을 하는 도중 척추에 총상을 입어 하반신 불구상태라고 밝혔는데 이날 휠체어를 탄 채 출석, 진술했다.
정시채 의원은 본인의 요구에 따라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모친상을 당했던 장형태 지사대신 부지사였던 내가 사태수습노력을 지휘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진술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수습 위원회를 구성, 설득을 벌인 끝에 시민. 학생 상당수를 귀가시켰고 각종 무기 3천 정을 회수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또 『사태이후 사망·실종자 신고를 받았으나 새로 접수된 건이 없는 것으로 보아 당국이 발표했던 사망자수는 틀림없다고 본다』고 말하고『당시 내·외신기자의 취재는 자유로이 허용됐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