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에 오래 노출될수록 기억력 나빠져

중앙일보

입력

자외선을 오래 쬐면 스트레스호르몬이 만들어져 기억력을 감퇴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포토]

자외선을 오래 쬐면 스트레스호르몬이 만들어져 기억력을 감퇴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포토]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이 기억력을 감퇴시킨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피부에서 스트레스호르몬 생성 #기억력 담당하는 뇌 해마로 이동 #신경 섬유 생성 방해 #정진호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팀 #쥐실험으로 밝혀 #선크림·선글라스·긴소매·양산 도움

서울대병원 피부과 정진호 교수팀(한미라·전경령·반재준)은 자외선을 쬐면 피부에서 생성된 스트레스 호르몬이  뇌에 영향을 미쳐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쥐 실험으로 증명했다고 29일 밝혔다. 뇌의 해마 부위는 기억력·인지 기능을 담당한다. 해마의 신경 섬유 양이 많고 신경을 연결하는 시냅스가 촘촘할수록 기억력과 인지 기능이 좋아진다. 그런데 자와선을 쬐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많이 만들어져 해마의 신경 섬유 생성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쥐실험에서 스트레스호르몬인 코티졸이 해마의 신경섬유 생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제공=앨런뇌과학연구소]

쥐실험에서 스트레스호르몬인 코티졸이 해마의 신경섬유 생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제공=앨런뇌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쥐 피부에 2주간, 6회 자외선을 쪼인 다음 뇌 해마에서 신경 섬유가 만들어지는 양과 신경을 연결하는 시냅스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자외선을 쪼인 쥐는 정상 쥐보다 신경섬유 양과 시냅스 단백질(NMDAR2A, PSD-95)이 감소했다. 또 신경을 형성하는 재료인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도 감소했다.

자외선에 노출된 쥐 혈액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양이 급격히 증가했다. 코르티솔은 혈액을 타고 뇌로 이동해 해마 기능을 떨어뜨렸다. 자외선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수록 해마 기능은 더 떨어졌다.

정진호 교수는 "자외선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고 말했다. 그동안 자외선은 피부암을 유발하고 피부 노화를 부르는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정 교수는 "자외선을 피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나이 들어서도 기억력을 유지하는 방법의 하나”라고 말했다.

긴소매 옷을 입으면 자외선 노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중앙포토]

긴소매 옷을 입으면 자외선 노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중앙포토]

자외선 노출을 피하려면 ▶외출할 땐 선크림을 바르고 ▶선글라스를 쓰며 ▶긴 소매 옷을 입고 ▶양산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