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상청, 포항 지진 발생 깊이 3~7㎞로 수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지난 15일 포항 지진 발생지점을 정밀 분석한 결과, 당초보다 남동쪽으로 1.5km 떨어진 곳으로 분석됐다. [자료 기상청]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지난 15일 포항 지진 발생지점을 정밀 분석한 결과, 당초보다 남동쪽으로 1.5km 떨어진 곳으로 분석됐다. [자료 기상청]

지난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강진의 진앙은 당초 기상청이 발표한 지점보다 남동쪽으로 1.5㎞ 떨어진 곳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발생 깊이도 당초 기상청이 발표했던 지하 9㎞가 아닌 지하 3~7㎞ 위치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자연)과 공동으로 포항 지진과 주요 여진의 발생 위치, 단층의 움직임, 발생 깊이 등에 대해 공동 정밀 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기상청은 지난 15일 지진 위치를 처음 발표한 이후 추가 자료를 활용해 포항 지진의 발생 위치를 정밀 분석했다.

포항지진 정밀분석 결과에 따른 본진과 여진의 진앙 위치. 색깔은 진원의 깊이(km)를 나타낸다. [자료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포항지진 정밀분석 결과에 따른 본진과 여진의 진앙 위치. 색깔은 진원의 깊이(km)를 나타낸다. [자료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에 따라 규모 5.4 본진의 위치는 북위 36.109도, 동경 129.366도로 수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기상청이 발표한 것보다는 남동쪽으로 약 1.5㎞ 떨어진 곳으로 포항시 북구 북쪽 7.5㎞ 지점인 셈이다.
발생 깊이 역시 약 3~7㎞로 분석돼 당초 발표했던 9㎞보다 얕은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지진 정밀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진과 여진의 발생 깊이. 왼쪽은 단층의 주 방향인 북동-남서 방향의 단면을, 오른쪽은 직각 방향인 북서-남동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다. [자료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포항지진 정밀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진과 여진의 발생 깊이. 왼쪽은 단층의 주 방향인 북동-남서 방향의 단면을, 오른쪽은 직각 방향인 북서-남동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다. [자료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의 발생 위치는 사용하는 관측자료와 지층의 구조에 따라 차이가 나고, 지진파의 도달 시각을 분석하는 데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지질연 정밀조사 결과 발표 #진앙지는 남동쪽으로 1.5㎞로 옮겨 #본진은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 탓 #진원 더 얕은 것으로 분석되면서 #지열발전소에 의혹의 눈길 쏟아져 #기상청 "발전소 탓이란 증거 없어"

지진 깊이의 경우는 정밀분석 결과, 당초 발표했던 9㎞보다 얕은 6.9㎞로 일단 분석됐다.
이와 달리 단층면해(Focal Mechanism) 방법을 적용하면 기상청과 지자연은 발생 깊이가 3~4㎞인 것으로,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는 5㎞, 미국 지질조사소(USGS)는 11.5㎞이라는 분석 결과를 얻었다.

포항 지진 지진파 [자료 기상청]

포항 지진 지진파 [자료 기상청]

이에 따라 기상청은 이번 포항 지진 본진의 발생 깊이를 3~7㎞로 결론을 내렸다.
단층면해는 단층이 수직으로 움직이는 역단층이나 정단층인지, 혹은 수평 이동하는 주향이동단층인지 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번에 본진을 일으킨 단층면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이가 약 6.3㎞, 경사 방향으로 폭이 약 3.4㎞로 나타났다.
또 단층은 수평보다는 수직으로 더 많이 움직인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으로 확인됐다.

단층의 종류 [자료 기상청]

단층의 종류 [자료 기상청]

최대 여진(규모 4.3)은 북북동 방향의 역단층으로 분석됐다. 역단층은 진원지 서쪽의 지반(상반)이 동쪽 지반(하반)을 타고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지금까지 발생한 규모 3.5 이상의 주요 여진은 본진과 달리 수평으로 움직이는 주향이동단층으로 분석됐다.
기상청은 또 최대 여진인 규모 4.3의 여진은 6~7㎞ 깊이에서, 나머지 여진은 2~3㎞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했다.

22일 오전 포항시 북구 환호동 대동빌라에서 이삿짐센터 직원들이 지진 피해 이재민들의 짐을 옮겨 싣고 있다. 포항=프리랜서 공정식

22일 오전 포항시 북구 환호동 대동빌라에서 이삿짐센터 직원들이 지진 피해 이재민들의 짐을 옮겨 싣고 있다. 포항=프리랜서 공정식

여진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경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지자연 분석한 여진의 진원 깊이는 약 1~6㎞로 지난해 9월 12일 발생했던 경주 지진의 발생 깊이 11~16㎞보다는 상당히 얕은 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기상청과 지자연은 본진 발생 후 인근 지역에 이동식 지진관측소를 추가로 설치해 관측 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규모 2.0 이하의 미소 지진에 대해서도 추가 정밀 분석을 할 예정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진원의 깊이가 3~7㎞로 분석됨에 따라 이번 지진 발생이 포항지역에서 추진되는 지열발전소와 관련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고려대 지질학과 이진한 교수는 "진앙에서 가까운 곳에 지열발전소를 건설하면서 지하 4.5㎞까지 구멍 2개를 뚫고 물을 주입하는 바람에 단층에 영향을 줘 지진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기상청 관계자는 "아직은 포항 지진의 본진이 지열발전소 탓에 발생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지진학자는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하려면 규모 2~4의 지진이 빈발해야 했는데, 그동안 포항 지역에 이런 규모의 지진이 없다가 갑자기 강진이 발생한 것을 보면 지열발전소 탓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강찬수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