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머 특성 잘 살린 수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현실의 반영으로서 드라머는 그것이 허구라는 점에서 물가피하게 현실을 왜곡하게된다. 드라머는 곧 그럴듯한 거짓말로 현실의 본질적인 국면을 극대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의TV드라머들은 대부분 이러한 의식의 실현보다는 주어진 이야기전개에 매달러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M-TV가 신년특집극으로 방영한『돈』(지상학극본 선우완연출)은 왜곡된 거울을 통해 현실의 한 단면을 냉엄하게 반영, 드라머의 특성을 보기 드물게 잘 살린 작품이었다.
『돈』은 한마디로 웃지 못할 촌극, 또는 터무니없는 소극이다. 이 드라머가 우리에게 주는 웃음은 주인공의 기괴한 몸짓이나 줄거리가 아니라「돈」이라는 우리 삶의 한 요소에서 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드라머는 교환가치가 지배하는 한 사회의 배금주의와 속물근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리들의 자화상이기도 한 것이다. 매달 54만3천원이란 피땀어린 봉급을 받아 마누라와 세 자매를 먹여 살리기 위해 허덕이는 말단은행원 전복남.
이름과 달리 그는 돈복이 지독하게 없는 사내로 어느날 과감하게 사표를 던지고 돈 사냥에 나선다. 여우를 키우는 사업, 가짜휘발유에서 진짜휘발유를 빼내는 발명 등을 두루 해보지만 언제나 돈은 미꾸라지처럼 쉽게 잡히지 않는다. 거대한자본의 논리에 움직이는 돈이 한 개인에게 쉽게 몰려들 수 없는 것. 결국 그의 행각은 먼 원시시대로 거슬러 가는가 하면 폴러로이드 카메라 한 대로 조선시대로 가서 떼 부자가 되는 환상으로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꿈에서도 그는 현실의 패배자가 된다.
단순한 난센스코미디인 만큼 결말의 큰 감동은 없다. 소재에 비해 사회비판 적인 풍자의 요소가 약했고 2부작이라는 시간에 비해 에피소드들의 연결이 약했던 것도 흠이다. 그러나 『돈』은 잠시나마 돈에 기쁨과 슬픔을 모두 저당 잡힌 시청자들을 즐겁게 해준 드라머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