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87여성계|여성단체 정치세력화 조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여성단체들의 정치세력화조짐이 엿보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 2월. 교회여성연합회·카톨릭 여성 농민회·여성의 전화·여성 평우회·또 하나의 문화·여성사회 연구회등 제도권 밖의 21개 여성단체들은 세를 규합, 한국여성 단체연합(회장 이우정)을 발족시켰다. 이것은 지난해 KBS편파보도에 항의, 시청료거부운동을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시청료거부 범 시민운동 여성연합회(회장 박영숙) 와 맥을 함께 하는 것으로 사회 각층에서 몰아치던 민주화열풍이 드디어 여성계와 접합, 민주화투쟁의 구심점을 마련한 것으로 주목을 끌었다.
여성단체들이 실질적인 정치세력으로 목소리를 드높인 것은 개헌작업이 한창이던 7월말이후. 한국여련은 물론 제도권내 여성단체들의 모임인 한국여성단체협의회도 개헌공청회를 마련하고 양성평등이 보다 확실히, 구체적으로 헌법에 명시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것은 대통령선거로 이어지면서 보다 다변화, 한국여성유권자연맹본부(회장 이계순) 및 서울지부(회장 석명희)·여성신문(회장 이계경)·가정법률상담소(소장 이태영)·대한YWCA(회장 문태임)·대한주부클럽연합회(회장 김천주) 등 각 여성단체들이 여성들의 정치의식을 고취하고 바른 주권행사를 도모하기 위해 세미나·토론회등을 마련했으며 공정선거를 촉구하는 건의서·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여협 홍숙자회장이 사회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건국이래 최초로 여성대통령후보로 나선 것이라든가, 민정·민주·평민·공화당등 각 정당이 대여성용 공약을 남발한 것도 이같은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새로 제정된 남녀고용평등법이라든가 혼인특례법은 선거 와중에 얻어낸 실익들. 그러나 아직 여성들이 정치실세로 등장하기에는 미흡했다는 것이 중평이고 보면 금년에 이룬 정치세력구축을 여하히 활성화, 실세로 규합해가느냐가 앞으로의 숙제일것 같다.
한편 소비자계는 작년말 개정된 소비자보호법에 의거, 한국소비자보호원이 발족되는등 큰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법운용이후 민간단체들의 조사·시험결과 공표권 제한이 민간단체들의 활동위축이라는 부작용을 가져와 소협 소속단체들을 중심으로 소비자보호법개정준비위원회가 발족되는등 법개정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반면 한국소비자보호원의 활동은 기존 민간단체들의 활동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 한국소비자보호원측은 시험기재가 완비되는 내년 후반기에는 본격적인 활동을 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제도적 보완에도 불구하고 농어촌등 소외지역, 장애자등 소외계층의 소비자보호는 여전히 뒷전으로 남아있어 아쉬움을 남겼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