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오르나” vs “핵폐기물 안전은”…원전 건설 찬반측이 주고 받은 질문과 대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을 결정할 시민참여단의 종합토론회 둘째날인 14일 오전 충남 천안 계성원에서 '발표자와 시민참여단의 질의·응답 시간'이 열렸다. [연합뉴스]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을 결정할 시민참여단의 종합토론회 둘째날인 14일 오전 충남 천안 계성원에서 '발표자와 시민참여단의 질의·응답 시간'이 열렸다. [연합뉴스]

14일 충남 천안시 계성원에서 열린 신고리5ㆍ6호기 원전 건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민참여단 종합토론회가 열렸다. 참여단은 건설중단 측과 건설재개 측으로 나뉘어 1시간 동안 20개의 질문을 쏟아냈다.

특히 “원전을 중단하면 전기요금이 오르지 않느냐”는 질문에 건설중단 측은 “원전이 줄고 가스발전이 늘면 비용이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이는 원전을 (이전) 정부가 편향적으로 확대하면서 생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중단 측은 이어 “미국ㆍ영국에서는 2020년 가스발전 비용과 태양광ㆍ풍력 발전 비용이 원전보다 저렴해진다는 자료가 나와 있다”며 “2030년 기준으로 매월 우리가 커피 한두잔 값을 더 부담할 수 있지만,훨씬 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 수 있다”고 답했다.

건설재개를 주장하는 측이 받은 핵심 질문은 “재난이 일어났을 때 핵폐기물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느냐”와 원전 지역 주민의 건강대책이었다. 이에 재개 측은 “현재 사용후핵연료는 원전 수조 안에 보관돼있다”며 “물에서는 방사선 차단이 자동으로 되고 냉각도 된다”고 답했다.

재개 측은 또 “5년간 (사용후핵연료를) 냉각한 뒤엔 자연상태에서 월성에 보관하고 있다”며 “이후엔 지하 500~1000m 깊이의 단단한 암반을 찾아서 넣자는 거다. 거기에 넣고 잊어버리자는 게 저희가 가진 기본적인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재개 측은 “원전 지역 주민은 건강검진 등 역학조사를 통해 다른 지역과 주민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관찰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선욱 기자 isot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