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댓글정치 원조는 노무현 정부…국정원에도 지시"

중앙일보

입력

자유한국당 정진석 의원은 27일 “댓글 정치의 원조는 노무현 정부”라고 주장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부싸움 끝에 자살했다’고 언급해 노 전 대통령 측과 소송 중인 정 의원이 맞불을 놓은 셈이다.

문건엔 “해당 기사에 부처 의견 '실명' 댓글 기재”…'익명'과 달라

정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 미래’ 정례 토론회에 참석해 노무현 정부에서 작성됐다는 문건을 공개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주요 언론 보도 기사에 공무원들이 댓글을 적극적으로 달라고 지시하기도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자유한국당 정진석 의원이 2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열린토론, 미래' 정례 토론회에 참석해 노무현 정부 당시 국정홍보처가 국정원 및 각 부처에 보낸 '국정브리핑 언론보도종합 부처의견 관련 협조 요청' 공문을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정진석 의원이 2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열린토론, 미래' 정례 토론회에 참석해 노무현 정부 당시 국정홍보처가 국정원 및 각 부처에 보낸 '국정브리핑 언론보도종합 부처의견 관련 협조 요청' 공문을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문건의) 맨 앞에 국정원이 있고, 국정원에도 댓글을 달라고 지시했다”며 “더 웃긴 것은 공무원의 댓글 다는 실적을 부처 평가에도 반영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정 의원이 공개한 ‘국정브리핑 언론보도종합 부처의견 관련 협조 요청’ 공문의 ‘추가 시행사항’ 항목에는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해당 기사에 부처 의견 실명 댓글 기재”라고 돼 있다.

당시 언론사의 오보에 대해 해당 부처가 ‘익명’이 아닌 ‘실명’으로 반박, 또는 해명하라는 것으로 정상적인 업무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익명’으로 진행된 댓글활동과는 다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도 “무소불위의 공포정치, 독선과 아집, 그들만의 주장만 옳다고 하는 철저한 편 가르기 정치가 눈 앞에 펼쳐지고 있다”면서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문재인 정부는 검찰, 경찰, 국세청, 국정원 등 권력 기관 장악도 모자라 언론까지 장악하려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진보·좌파는 비판하고 반대하는 것에는 익숙하지만, 자신들이 비판과 반대를 받는 것은 견디지 못한다”며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권에는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정권에도 없던 청와대 기자 출입금지도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연장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언론장악 문건도 나왔다”며 “도대체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어떻게 이런 발상이 가능할지 소름이 끼친다”고 덧붙였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