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60%대로 떨어진 대통령 지지율, 협치만이 돌파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4주 연속 하락하며 60%대로 떨어졌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의 11∼13일 조사(66.8%)에 이어 한국갤럽의 12~14일 조사(69%)가 나왔다. 이 수치 역시 역대 대통령보다 여전히 높은 편이다. 그러나 여소야대 구도에서 80%를 웃도는 대통령 지지율에 힘입어 국정 운영을 해온 정부로선 한 달 내내 지속된 지지율 하락세는 예삿일이 아니다. 국정 운영 동력을 상실할 우려도 있다.

지지율 하락의 원인엔 이견이 없다. 지지율 고공행진에 고무돼 독주를 계속한 탓에 국민의 눈길이 냉랭해지기 시작한 결과다. 무엇보다 인사에서 문제가 많았다. 대선 공약인 탕평 인사는 실종되고, 코드 인사가 난무했다. 그 결과 검증 부실로 장차관급 고위 공직자 후보 7명이 낙마하고, 집권 131일째 내각이 구성되지 못하는 인사 참사를 자초했다. 박근혜 정부 첫 조각 당시 6명 낙마를 넘어서는 기록이다. 탈원전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최저임금 인상 등 현실을 무시한 정책들을 군사작전 하듯 밀어붙인 것도 지지율에 악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북핵 위기에 대한 안일한 대응도 지지율 하락의 주범으로 빼놓을 수 없다. 북한은 문 대통령 집권 이래 여덟 번이나 미사일을 쏘고 수소폭탄으로 추정되는 6차 핵실험까지 강행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극한 압박’을 말로는 다짐하면서도 행동은 800만 달러 대북 지원을 하기로 하는 등 엇박자를 냈다. 국민의 안보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다.

지지율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지만, 꾸준히 떨어지는 점은 주시할 필요가 있다. 지지율만 믿고 독주한 결과 뜻한 바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지지율만 깎아 먹은 건 아닌지 곱씹어봐야 한다. 인사나 정책을 추진하기 앞서 야당과 의논하고 경청하는 진정한 협치의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