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살충제' 판정 농장 2곳 계란에서 농약 검출…기준치 24배까지 검출

중앙일보

입력

살충제 농약이 검출되지 않아 정부의 적합판정을 받은 농장 1곳에서 생산·유통된 계란에서 농약 성분이 기준치의 24배나 검출됐다. 또 다른 1곳은 기준치 이하의 농약이 검출됐다. 정부 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살충제 계란 폐기 장면. [중앙포토]

살충제 계란 폐기 장면. [중앙포토]

부산시는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정부조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에서 생산한 계란을 유통·판매하는 업소 48개소의 68건을 대상으로 농약 검사를 벌인 결과 1곳은 기준치 이상의, 또 다른 1곳은 기준치 이하의 농약이 검출됐다”고 4일 밝혔다.

부산시가 지난달 28~30일 판매·유통업소 48개소 68건 조사한 결과 #1곳은 비펜트린이 기준치 24배, 1곳은 이준치 이하의 피프로닐 나와

부산시 조사 대상은 식용 계란 수집판매업소 43개소와 대형 유통업소 5개소 등 48곳의 68건이었다. 1건은 보통 계란 5개나 10개, 30개 묶음을 말한다. 업소별로 조사 건수는 다를 수 있다.

이 가운데 부산 사상구의 한 판매업소가 경남 양산의 농가에서 받은 계란 1800개 가운데 1건(5개)을 무작위 추출해 깨뜨려 검사한 결과 살충제 농약 성분인 비펜트린이 0.24㎎/㎏ 검출됐다.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비펜트린 기준인 0.01㎎/㎏의 24배에 이르는 것이다.

부산시는 사상구 판매업소가 사들여 보관하던 계란 1800개를 전량 수거해 4일 폐기했다. 계란 5개를 깨트려 한꺼번에 조사하는 살충제 검사에서 농약 성분이 검출되면 조사대상 모든 계란에서 농약이 검출된 것으로 간주한다.

경남도가 계란과 닭고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닭을 도축하는 도계장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29일 거창군 마리면 한 도계장의 점검 모습. [사진 경남도]

경남도가 계란과 닭고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닭을 도축하는 도계장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29일 거창군 마리면 한 도계장의 점검 모습. [사진 경남도]

부산시는 또 이번 조사에서 부산 강서구의 한 판매업소가 경북 김천의 농가에서 사들인 계란에서 농약 성분인 피프로닐이 0.01㎎/㎏ 검출됐다고 밝혔다. 피프로닐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은 없고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0.02㎎/㎏을 기준치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 강서구의 판매업소가 경북 김천의 농가에서 사들인 계란 7650개는 이미 전량 소비자 등에게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5일 정부의 적합 판정을 뒤여서 유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농약 검출에도 회수해 폐기가 불가능해진 것이다. 농식품부는 기준치 이하의 피프로닐이 검출돼도 계란을 폐기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농식품부에서 안전하다고 판정한 농가 두곳의 계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며 “생산 농가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정확한 오염 경로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피프로닐을 과다 섭취하면 어지럼증·구토·복통·두통·현기증 같은 독성물질오염 증상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신장 등 인체 내부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