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께 묻습니다"…대통령 직접 비판한 MBC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상암동 MBC 본사 정문앞에서 시사제작국 기자와 PD들이 제작중단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을 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서울 상암동 MBC 본사 정문앞에서 시사제작국 기자와 PD들이 제작중단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을 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MBC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직접 반박 자료를 냈다. MBC는 28일 (주)문화방송 명의로 낸 자료를 통해 "언론적폐 청산이 '입맛에 맞는 사장으로의 교체냐"며 "사장 퇴진을 요구하는 공영방송 MBC의 파업은 정권의 방송 장악 의도에서 출발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MBC, 방송사 명의로 직접 대통령 반박자료 내 #"MBC 장악 행위 중단하라. 방송 독립 지켜내겠다" 주장

그러면서 "대통령께서는 3월 21일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당시 MBC 토론회에서 '언론 적폐 청산을 해야 하고, MBC가 심하게 무너졌다'고 비난했다"며 "헌법과 방송법에 명시된 언론의 자유와 방송의 독립을 무시하는 MBC 장악 작전은 전방위로 펼쳐졌다"고 덧붙였다.

MBC는 또 "정권을 등에 업은 언론노조는 갖가지 명목으로 권력기관을 동원하기 위해 방문진과 MBC를 상대로 고소 고발을 남발하고 있다"며 "언론노조MBC본부가 파업을 확대하자, 이효성 위원장은 이를 빌미로 모종의 조처를 시사하며 압박하고, 이낙연 총리마저 MBC 경영진에 중대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며 비판했다.

특히 MBC 측은 '정치권력과 언론노조의 방송 장악 일정표'를 제시하며 대통령과 박광온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 등의 발언 내용과 날짜를 적기도 했다. 대통령의 발언을 '정치권력의 방송 장악'으로 지칭한 부분이다. MBC 측은 "정치권력과 언론노조는 공영방송 MBC 장악을 위한 이런 과정이 헌법 21조를 위반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느냐"며 "공영방송 MBC 장악 행위를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고 주장했다.

현재 MBC는 구성원 400여명이 김장겸 사장 등 경영진 교체를 요구하며 제작거부에 들어간 상태다. 전국언론노조 MBC본부는 이르면 다음달 4일 본격적인 파업에 돌입한다.

<이하 MBC 측 자료 전문>

대통령에 반박하는 MBC [사진 MBC]

대통령에 반박하는 MBC [사진 MBC]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