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년 전엔 시진핑 참석, 이번엔 따로 여는 한·중 수교 행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2012년 8월 31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한 시진핑(習近平) 당시 중국 국가부주석이 축하 케이크 커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2년 8월 31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한 시진핑(習近平) 당시 중국 국가부주석이 축하 케이크 커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24일로 한·중 관계 25주년을 맞는다. 중국은 외국과의 수교 기념일을 맞아 5주년, 10주년 단위로 성대한 기념행사를 치르는 게 관례다. 5년 전 한·중 수교 20주년 기념식 때는 시진핑(習近平) 당시 국가부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성대하게 한·중 공동 기념행사를 열었다. 하지만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문제로 한·중 관계가 얼어붙은 올해는 공동으로 기념식을 개최하자는 요청을 중국이 거부해 베이징에서 한국 따로, 중국 따로 별도의 행사를 치르게 됐다. 한·중 관계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중국, 5주년 단위 성대한 행사 관행 #사드 앙금에 올해는 공동주최 거부 #주중대사관 행사 초대에도 시큰둥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던 무렵부터 수교 25주년 행사를 공동으로 주최하자는 제안을 했다”며 “수교 15주년과 20주년 때 모두 공동 행사를 치렀던 전례가 있는 데다 이를 계기로 한·중 관계 복원의 분위기를 마련하는 취지도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측은 “올해는 공동 주최가 어렵다”는 뜻을 비교적 논의 초기부터 전달해 왔다. 이에 따라 대사관 측은 일찌감치 단독 행사를 치르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하고 축제 분위기의 한류 공연 등은 배제한 채 한·중 관계 25주년을 진지하게 돌아본다는 콘셉트로 행사를 치른다는 취지 아래 행사 준비를 해왔다.

이에 따라 주중 대사관이 마련한 행사는 24일 베이징 중심가의 차이나월드 호텔에서 단독 주최 형식으로 열리게 됐다. 우리 측 행사 가운데 일부 프로그램은 중국 측의 협조 거부로 무산되는 바람에 규모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당초 대사관은 메인 이벤트인 리셉션과 함께 양국 경제 포럼과 언론인 교류 포럼·투자설명회·사진전시회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대사관 관계자는 “언론인 발표자를 백방으로 물색했지만 상부의 승인을 받기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중국 측이 참가를 거부해 행사 취소를 결정했다”며 “경제 포럼 역시 초반에는 긍정적이던 중국 측 연구소가 뒤늦게 참석하지 못하겠다고 전해 와 난항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중국 측 고위 인사의 축사를 요청했지만 실제로 어느 위치의 인사가 올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대사관으로서는 최대한 격식 있게 행사를 치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2년 한·중 수교 20주년 공동행사가 베이징에서 열렸다. 사진은 무역상담회에 참가한 국내 기업 대표들이 중국 바이어들과 수출상담을 벌이는 모습. [중앙포토]

2012년 한·중 수교 20주년 공동행사가 베이징에서 열렸다. 사진은 무역상담회에 참가한 국내 기업 대표들이 중국 바이어들과 수출상담을 벌이는 모습. [중앙포토]

이와 별도로 중국 측은 별도의 행사를 대외인민우호협회 주최로 23일 베이징에서 치르기로 하고 한국 측에 주중 대사와 교민 대표 등의 참석을 요청해 왔다. 한국 정부 측은 “중국 측이 장소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레 지난주 후반 별도의 행사 개최 계획을 알려 왔다”며 “한국 측 외빈으로 누구를 보낼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결국 중국 따로, 한국 따로의 기념행사가 베이징에서 하루 간격으로 열리게 됐다.

앞서 2007년 15주년 기념행사는 중국 시내 호텔에서, 20주년인 2012년에는 격을 높여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렸다. 두 차례 모두 한·중 공동 주최였다. 특히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20주년 행사엔 총서기 선임을 3개월 앞두고 있던 시진핑 당시 국가부주석과 대외연락부장 등 8명의 장관급 인사가 대거 참가했다.

공동 행사의 무산뿐 아니라 수교 25주년에 맞춰 타진한 문재인 대통령의 조기 방중도 사실상 무산된 상태다. 한국은 5월 새 정부 출범 직후 파견한 이해찬 특사를 포함, 외교 경로를 통해 8월 방중을 타진해 왔으나 긍정적 답변을 받지 못했다.

정부 당국자는 “지난달 독일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문 대통령이 직접 자신의 조기 방중 의사를 피력하고, 내년 2월 평창 올림픽 개막식을 계기로 한 시 주석 초청 의사를 전달했으나 시 주석의 수락을 이끌어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