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네이버, 표현의 자유 수호하고 언론에 책임감 보여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최근 네이버의 댓글이 증발하는 일이 많아 네티즌들 사이에 네이버의 여론조작 의심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 정책에 대해 비판하거나 때로는 옹호하는 댓글도 사라지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는 것이다. 네이버가 최근 도입한 ‘댓글접기’ 기능에 따라 네티즌들이 해당 댓글접기를 요청할 경우 요청 숫자가 많아지면 자동으로 댓글을 볼 수 없도록 하는 정책 때문이다. 이는 특정 정치세력이 댓글에 개입함으로써 여론을 조작하고 쏠림 현상을 만들어낼 수 있어 악용될 우려가 높은 방식이다. 국민의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다수에 의해 소수의견이 묵살되는 여론의 왜곡을 부를 위험도 다분하다.

그러나 네이버는 이를 ‘이용자 선택권 강화 전략’이라고 설명한다. 네이버의 언론에 대한 몰이해와 반언론적 행태는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수시로 터져 나오는 실시간 검색 조작 의심이나 가짜뉴스의 유통 통로라는 지적까지 다양하다. 문제는 네이버가 국내 뉴스 유통을 독과점하며 국민의 절반 이상(56.4%)이 네이버를 언론이라고 인지하고 있는(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 와중에도 언론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이다. 뉴스를 생산하지 않으므로 언론사가 아니라는 게 책임 회피의 이유다.

그러나 네이버는 인링크 방식으로 뉴스를 단순 유통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체 뉴스편집 서비스를 하고 있다. 뉴스 편집 행위는 언론사들의 의제설정(agenda setting)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네이버도 언론사로 봐야 한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의 견해다. 언론으로서의 공공의식과 책임감을 가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네이버는 오히려 언론사가 생산한 뉴스를 유통시키며 여기서 얻는 광고수익을 거의 독식해 언론 생태계를 파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라도 네이버는 건전한 한국 언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공공성을 자각하고 언론에 대한 책임감을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