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폐청산TF, 국정원 DB서 '원세훈 녹취' 분석 중...'댓글 사건' 증거 될까

중앙일보

입력

국가정보원 로고[중앙포토]

국가정보원 로고[중앙포토]

국정원 개혁을 위한 적폐청산 테스크포스(TF)가 지난 2012년 불거진 이른바 '국정원 댓글사건'과 관련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녹취록을 찾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6일 오후 JTBC 뉴스룸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정부 이후 출범한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 산하 적폐청산TF는 국정원의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DB에서 원 전 국정원장이 대선 개입 지시를 했는지, 녹취록으로 남아 있는지 보겠다는 것이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전날 뉴스룸에 직접 출연했다. 그는 '국정원 댓글사건'과 관련해 박근혜 전 대통령 청와대로부터 "공직선거법 위반 적용은 곤란하다, 또 구속도 곤란하다, 라는 그러한 여러 가지 다각적인 어떤 말들이 있었던 건 사실"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 전 대통령 청와대에서 당시 사건 수사에 외압을 가했다는 사실상의 폭로와 다름없었다.

채 전 국정원장은 또 국정원 DB와 관련해 "저는 가장 핵심은 당시 국정원의 데이터베이스를 압수수색을 못 했다는 것"이라며 "제가 알고 있기로는 국정원의 데이터베이스라는 것은 삭제가 어렵고, 아마 대부분의 자료가 지금도 존안 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번 적폐청산TF가 들여다보고 있는 자료가 바로 이것과 관련한 것이다. 2013년 검찰은 사건 수사 당시 이 자료를 확보하려 했으나, 국정원 압수수색에 실패해 확보하지 못한 것이기도 하다. 당시 검찰은 국정원이 임의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사를 벌였지만, 국정원이 제공한 자료는 2012년 5월까지의 기록이었다. 이번 적폐청산TF는 지난 18대 대선을 앞둔 시점인 2012년 6월부터 12월까지 회의의 녹음과 녹취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서 만약 원 전 국정원장의 대선개입 지시 녹취가 발굴되면, 국정원 댓글사건의 증거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 채 전 총장도 "감찰실에서 자체조사를 한다고 하니,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자체적으로 조사를 해서 관련자 일체를 추출해내고 그래서 관련자들에 대해서 충분한 전수조사를 한다면 그 사건, 두 사건에 대한 모든 진상규명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적폐청산TF는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는 한편 그동안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온 직원들에 대한 조사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