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난항, 중국·러시아 '반대'에 진통예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사진 유엔본부 제공]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사진 유엔본부 제공]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도발에 5일(현지시간) 추가 대북제재 결의를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열렸다. 하지만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 중국과 러시아가 부정적 입장을 보이면서 결의안 도출이 난항을 겪고 있다.

5일(현지시간) 미국 abc 방송,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이날 개최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이사국들의 대북 대응책과 방향이 엇갈리면서 아무런 결론도 내지 못한 채 1시간 반 만에 끝났다고 전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견해차가 심했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미국 대표로 참석한 니키 헤일리(Nikki Haley)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어제(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세계가 더 위험해졌다. 북한의 불법 미사일 발사는 위험할 뿐 아니라 무모하고 무책임하다"며 "우리가 꼭 해야 한다면 (군사력을) 사용하겠다"며 대북 압박 수위를 높였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이 같은 미국 측 입장에 대해 군사적 충돌은 피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펼쳤다.

블라디미르 사프론코프(Vladimir Safronkov) 유엔 주재 러시아 부대사는 "제재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을 모두가 알아야 한다"며 "군사적 대응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안보리 7월 순회의장국인 중국의 류제이(劉結一) 유엔 주재 중국 대사 역시 "중국은 한반도에서의 혼란과 충돌을 확고히 반대해왔으며 대북 군사수단은 옵션이 아니다"며 반대 입장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북한의 ICBM 도발에 따른 유엔 안보리의 추가 제재 결의안이 도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