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소방관 1명당 국민 1579명…전국 소방인력, 기준보다 1만 9000명 부족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기준, 현장활동 소방관 1명당 담당 인구수가 1579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방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해마다 출동 건수는 꾸준히 늘고 있어 소방관들의 업무 가중이 심각한 가운데 주당 근무시간은 3교대 기준 50시간이 넘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방인력 확충 움직임이 일고 있는 만큼, 일선 현장에선 이를 반기는 모습이다.

2015년 부산 한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이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다. [사진 부산경찰청]

2015년 부산 한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이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다. [사진 부산경찰청]

소방서나 소방기관별 근무요원의 배치 기준에 따르면, 현장활동 인력은 최소 5만 1714명이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전국 소방공무원 전체 정원은 4만 4293명으로, 현장활동 인력은 3만 2460명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최소 기준 대비 1만 9254명이 부족한 수로, 현장활동 소방관 1인당 담당 인구수는 1579명에 달하게 된다. 이같은 인력 부족의 배경엔 총액 인건비 제도가 있다. 소방인력에 투입되는 인건비의 제약으로 충원하지 못한 것이다.

소방인력의 직접적인 수요로 볼 수 있는 출동 건수는 늘고 있어 인력난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연간 소방인력의 출동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화재진압 출동 건수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4만 3000건 안팎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인명구조 출동 건수와 구급활동 출동 건수가 급증세를 보인 것이다.

2012년 56만 5753건을 기록했던 인명구조 출동 건수는 지난해 75만 6987건을 기록했다. 4년 새 20만건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구급활동 출동도 2012년 215만 6548건에서 지난해 267만 7749건으로 52만여건 증가했다. 신도시 개발, 산업단지 조성 등 급속한 도시화로 전통적인 소방 활동인 화재 진압보다 인명구조와 구급활동의 비중이 크게 늘고 있는 것이다.

15일 대구소방교육대에서 ‘화재현장에 강한 프로소방관 만들기’ 상반기 훈련이 실시됐다. 무더위 속에 40개 119안전센터 화재 진압대원 725명(120개팀)이 방화복과 공기호흡기 등을 착용하고 소방호스로 물을 뿌리며 화재를 진압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효과적인 화재 진압능력 향상과 현장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ㆍ하반기로 나눠 교육과 훈련을 실시한다. 프리랜서 공정식

15일 대구소방교육대에서 ‘화재현장에 강한 프로소방관 만들기’ 상반기 훈련이 실시됐다. 무더위 속에 40개 119안전센터 화재 진압대원 725명(120개팀)이 방화복과 공기호흡기 등을 착용하고 소방호스로 물을 뿌리며 화재를 진압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효과적인 화재 진압능력 향상과 현장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ㆍ하반기로 나눠 교육과 훈련을 실시한다. 프리랜서 공정식

이같은 인력난은 기존 소방관의 과도한 업무로 이어졌다. 소방관들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3교대 기준 50시간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기준, 최근 5년간 다친 21명의 소방관이 순직했고, 1725명에 달하는 소방관이 부상을 입었다. 사무실과 소방차량만 있고 상주 소방관은 없는 '무인 지역대'도 충남 94곳, 충북 27곳, 전남 6곳, 세종 5곳 등 전국 132곳에 달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일 서울 용산소방서를 방문한 자리에서 "임기 중 적어도 법적 기준에 부족한 1만9천명 이상의 소방 인력을 확충하겠다"고 밝히고, 지난 12일 국회 시정연설에서도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소방인력의 충원으로 기존 소방인력의 과도한 업무를 줄이고, 무인 지역대와 같은 소방 사각지대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