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구당 순자산 3억6779만원 … 기업 자산 늘었지만 가계는 찔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지난 한 해 동안 기업 자산이 이전보다 빠르게 늘었지만 가계 자산 증가율은 오히려 둔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치)’에 나타난 결과다.

한국은행 ‘국민 대차대조표’ #가계, 4년간 4500만원 늘어 #개인 주식·펀드 증가폭 주춤 #부동산 자산 비중 미국의 2배

한은·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 기업(비금융법인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은 8.9%로 2015년 7.5%보다 1.4%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기업을 제외한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증가율은 같은 기간 6.2%에서 5%로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국부(國富)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0.4%포인트 커졌지만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비중은 0.4%포인트 작아지게 됐다.

이는 지난해 가계가 보유한 주식·펀드·예금 등 금융자산의 증가폭이 둔화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 증가액은 207조4000억원으로 2015년(281조5000억원)보다 74조원 가량 적었다.

집을 사기 위해 빚을 많이 진 것도 가계 자산이 덜 늘어난 원인이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 금융부채 증가분은 142조7000억원으로 1년 전(127조원)보다 15조7000억원 더 많았다. 현재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한국 가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주요 선진국보다 여전히 높다. 비금융자산은 2008년 순자산의 82.8%에서 2015년 75.5%까지 떨어졌다가 지난해 75.8%로 높아졌다. 미국(2015년 34.9%)의 두 배를 웃돌며, 일본(2014년 43.7%)이나 영국(2015년 55.3%) 등에 비해서도 부동산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한은은 국내 한 가구당 순자산을 3억6779만원으로 최종 집계했다. 지난해 평균 가구원 수 2.5명을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다. 2012년 3억2324만원에 비해 4년간 4500만원가량 늘었다. 조태형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 팀장은 “우리나라 평균 주택가격은 2억4800만원 정도고 여기에 금융자산 등을 더해 나올 수 있는 수치”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순자산은 총 1경3078조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총생산(1637조4000억원) 대비 8배 규모로 전년(7.9배)에 비해 소폭 올랐다. 국부가 커진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부동산 시장 호조에 따른 토지자산 가격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경상수지 흑자로 인한 순대외투자 증가도 국부 증대에 큰 몫을 했다.지난해 순대외투자 금액은 2785억 달러를 기록해 2014년(842억 달러) 플러스로 전환된 뒤 3년째 증가세를 나타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자산, 부채 등을 담은 기업 대차대조표와 같이 국가의 재무 상태를 표시한 통계 자료다.

심새롬 기자 saero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