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당권 레이스 점화...홍준표 대항마는?

중앙일보

입력

자유한국당이 7월 3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전당대회 준비 체제에 29일 돌입했다. 대표 경선을 관리할 선관위원장은 이인제 전 최고위원이, 전대준비위원장은 박맹우 사무총장이 맡았다. 차기 지도부 구성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별도로 뽑는 ‘단일 지도 체제’가 현재로선 유력하다. 친박계 일각에선 대표를 비박계에 내주더라도 지분을 챙길 수 있는 집단지도체제를 선호했지만, 박 사무총장은 “집단지도체제로의 변경은 당헌ㆍ당규 개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선관위가 구성되면서 차기 당권 주자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가장 유력한 후보인 홍준표 전 경남지사는 6월 초 귀국해 당권 도전 의사를 공식화한다. 미국 체류중에도 페이스북 정치를 멈추지 않고 있는 그는 이날도 “북한의 무차별적 미사일 도발은 친북 좌파 정권이 들어섰기 때문”이란 글을 올렸다. 또 바른정당을 향해선 “내년 지방선거까지 ‘위성정당’으로 남아있다 궤멸할 것”이라고 거칠게 비난했다.

친박계에선 4선인 홍문종 의원 출마를 고심중이다. 그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 전당대회는 친박 대 비박의 대결이 아니라 친홍(친홍준표) 대 반홍(반 홍준표)의 대결"이라고 규정했다. 홍 의원은 “(자신의) 부적절한 처신이 당의 재건을 위해 마음을 모으려는 이들의 의욕을 꺾는 흉기가 되고 있다는 (홍 전 지사가)사실을 모르고 있다”고도 했다.
홍 전 지사에 대해 역시 비판의 날을 세워온 역시 친박계 4선 유기준 의원도 당 대표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이밖에 5선의 원유철 의원과 4선의 나경원 의원의 출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55세이면서도 5선의 경력을 쌓은 원 의원은 "당에 젊고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출마여부와 관련해)동료 의원들의 얘기를 들어볼 것”이라고 했다. 김태호 전 최고위원의 출마설도 돌지만, 본인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지금으로선 달리 할 말이 없다"고만 했다.  당직자들 중에서도 김 전 최고위원에 대해선 "실제 출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당내 초ㆍ재선 의원들의 표심은 전당대회에 영향을 줄 변수다. 당내 초선은 44명, 재선은 30명으로 둘을 합치면 전체 107명의 3분의 2가 넘는다. 최근 접촉이 잦은 이들이 전당대회에서 한 쪽으로 표를 몰아줄 가능성도 있다.
당장 재선 의원 30명은 워크숍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중진 의원들의 대표 출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진'이 누구를 가리키는 지는 명확치 않지만 기자회견에서 친박계인 이장우 의원은 “차기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다선 의원들의 희생적 애당심이 필요하다. 당의 미래를 위해 4선 이상 중진들의 자기 희생이 바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매주 당 혁신 모임을 갖고 있는 한 초선 의원은 “친박계 의원들이 더이상 당의 전면에 나서서는 안 된다는데 초선들의 의견이 대부분 일치한다”고 했다.
박성훈 기자 park.seongh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