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6월 개최 합의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6월말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6일 정의용 청와대 외교·안보 태스크포스(TF) 단장과 매슈 포틴저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간의 만남 직후 브리핑에서 “한·미 정상회담의 6월말 조기 개최 방안에 대해 양측이 원칙적으로 합의했다"며 "상세 일정과 의제 등은 향후 외교경로를 통해 추가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또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양국 정상 간에 개인적인 유대와 우의를 다지는 계기로 삼도록 관련 준비를 해나가도록 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통화에서 문 대통령의 방미를 초청하면서 “고위 자문단을 통해 방미 문제를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북한 핵문제와 관련, 윤영찬 수석은 “양국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화하고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한 공동 방안을 추가 모색키로 했다”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 정상간 비전에 대해 공통점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미 정상간의 4가지 공통 인식을 소개했다. ^북한 핵의 완전한 폐기가 궁극적 목표임을 확인 ^이를 위해 제재와 대화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 ^북한과는 올바른 여건이 이뤄지면 대화 가능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감하고 실용적인 한·미 간 공동방안 모색 등이다.

일각에서 한국 신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사이에 대북 압박 수위와 북한과의 대화 재개 요건 등에 있어 의견 차가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양 측이 이같은 공통 인식을 바탕으로 대북 정책을 조율하겠다는 원칙을 확인한 것이다.

포틴저 보좌관은 이날 문 대통령과도 약 7분간 만났다. 정 단장과 포틴저 보좌관의 면담 중 문 대통령이 회의장을 방문하는 형식이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곧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를 희망한다”며 “한미동맹 관계를 중시하고 있으며, 우리가 나눈 대화에 대한 후속 조치를 위해 홍석현 특사를 이번주중 파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특사 파견은 양국 국민 뿐 아니라 전세계에 굳건한 한미동맹을 다시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 간에 충분하고 긴밀한 협의를 계속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틴저 보좌관은 이날 오후 외교부 도렴동 청사에서 이정규 외교부 차관보도 만났다.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난 포틴저 보좌관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한국 측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이는 이미 정해진 사안(a settled matter)으로, 우리는 (한국정부와) 대화를 계속 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지혜·위문희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