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몽골에 나무심기 18년, 심은 곳 10배 지역 모래폭풍 잠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한반도는 황사가 과거보다 다소 약해진 것처럼 보이지만 몽골에선 여전히 심각합니다. 바람 기류가 바뀌면 언제든지 2002년이나 2006년 같은 강한 황사가 한반도로 들이닥칠 수 있어요.”

오기출 푸른아시아 사무총장 #축구장 795개 면적에 58만 그루 #환경운동 경험 정리한 책도 출간

2000년부터 황사 방지를 위해 몽골에 나무를 심는 시민단체 ‘푸른아시아’의 오기출(56) 사무총장은 지난 12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

오기출 사무총장은 “몽골의 모래먼지 폭풍은 언제든지 한반도로 닥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록 기자]

오기출 사무총장은 “몽골의 모래먼지 폭풍은 언제든지 한반도로 닥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록 기자]

최근 몽골과 중국 북부에서 불어오는 황사와 중국발 스모그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이 가운데 오 사무총장이 최근 『한 그루 나무를 심으면 천 개의 복이 온다』는 제목의 책을 냈다. 몽골 조림사업의 경험과 환경운동에 몸담으며 느낀 것들을 정리한 책이다.

책 제목 『한 그루…』는 몽골의 오래된 속담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몽골의 사막화가 심각해지자 지난 2006년 몽골의 큰스님이 새해 메시지로 이 속담을 꺼내어 사람들에게 나무 심기를 강조하기도 했다.

푸른아시아가 18년째 몽골에서 나무를 심고 있지만 몽골에선 여전히 모래폭풍이 심각하다고 한다. 올해에만 벌써 15~16회 정도 모래폭풍이 발생했다. 몽골의 사막화가 원인이다. 1990년 전 국토의 40%가 사막이었거나 사막화가 진행된 지역이었는데, 지금은 80%로 늘었다. 모래폭풍은 연간 50일 이상 발생한다. 그에 따르면 몽골은 공장도 없고, 인구도 많지 않다. 그런데도 사막화를 겪는 것은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탓이다.

푸른아시아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서울·인천·수원·고양 등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의 후원으로 몽골에 나무를 심었다. 이뿐 아니라 나무를 주민 소득사업과 연결시켰다. 처음엔 나무를 심고 물을 주는 현지 주민에게 임금을 지불했다. 이제는 주민들이 스스로 감자와 채소·비타민나무(차차르칸) 등 농사도 같이 지어 자립하도록 돕고 있다.

오 사무총장은 “초기에는 심은 나무가 말라죽기도 했지만 이제는 몽골 7개 지역의 580㏊에 약 58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가꾸게 됐다”고 말했다. 580㏊는 축구장 795개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푸른아시아는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서쪽으로 200㎞ 떨어진 바양노르 지역에서 120㏊에 걸쳐 나무를 심었다. 그러자 이의 10배 면적인 1200㏊에 이르는 지역에서 모래먼지 폭풍이 사라졌다고 한다.

푸른아시아가 만든 주민 자립모델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2014년 유엔 사막화방지협약(UNCCD)으로부터 ‘생명의 토지상’ 최우수상을 받았다. 오 사무총장은 “나무를 심는 것은 온실가스를 줄이고 사막화를 방지하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파괴’에서 ‘살림’으로 인간 의식을 진화시키는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