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막말? ‘해학’ 일뿐…유머와 해학은 어려운 이 세상 풍요롭게 해주는 즐거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가 7일 오전 삼성중공업 크레인사고 희생자 빈소가 차려진 경남 거제시 거붕백병원을 찾아가 조문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가 7일 오전 삼성중공업 크레인사고 희생자 빈소가 차려진 경남 거제시 거붕백병원을 찾아가 조문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가 7일 자신의 막말 논란에 대해 ‘해학’일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해학을 해학으로 봐주지 않고 다른 측면으로 몰아가는 것은 먹물들의 삐뚤어진 자존심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홍 후보는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라도 홍준표는 해학을 잃지 않는다”며 “유머와 해학은 이 어려운 세상을 풍요하게 해주는 즐거움”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그는 유세현장 연설 내용 등이 구설에 오르고 ‘막말’로 치부되고 있는 것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홍 후보는 이러한 막말 논란에 대해 “‘막말’이 아니고 ‘서민의 평균적인 시중의 말’”이라는 입장을 꾸준히 취해왔다. 그는 지난달 2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옛날에 막말은 노무현 대통령이 제일 심했다”며 “그땐 대통령 품격 얘기한 적 있느냐”고 말했다.

이어 “지도자에게 중요한 것은 거짓말해선 안 된다는 것”이라며 “국민들에게 얘기할 땐 평균적인 언어, 쉬운 말로 얘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잇따라 글을 올려 “대한민국의 명운을 가를 체제 선택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며 “친북 좌파 정권이냐, 자유 대한민국 정권이냐를 선택하는 마지막 이틀”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홍준표 정부가 들어서야 한반도가 안정된다. 홍준표 서민 정부가 들어서야 대한민국 경제가 살아난다. 홍준표 정부가 들어서야 이 나라 청년들의 미래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심은 홍심(洪心)이다. 문(文) 닫고 (安)철수하라’는 게 SNS에 돌아다니는 유행어”라고 내세웠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