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 중국인들은 여전히 “한국산 팅하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설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 보복에도 불구하고 1분기에 중국으로의 ‘역직구’ 금액이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증가폭은 과거보다 낮아져 사드 보복의 영향이 없지는 않았음을 시사했다.

역직구 지역 및 품목

역직구 지역 및 품목

통계청이 4일 발표한 ‘3월 온라인쇼핑동향’에 따르면 1분기 중국에 대한 온라인 해외직접판매(역직구)액은 62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2%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로도 6.2% 증가한 금액이다.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은 2015년(170.3%), 2016년(107.9%)보다 낮아졌다.

1분기, 중국으로의 역직구액 60% 증가 #전체 역직구액의 80%를 중국이 차지 #증가폭은 예년보다 다소 둔화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의 77% 차지 #한국인 해외직구는 미국에 쏠려...전체의 절반

1분기 전체 역직구 금액(7716억원)에서 중국으로의 역직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80.6%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미국(458억원), 일본(339억원),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207억원)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해외 역직구가 가장 많이 이뤄진 품목은 화장품이었다. 역직구 금액은 59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7% 급증했다. 화장품이 전체 해외 역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6.9%에 달한다. 의류·패션 및 관련 상품(1025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187억원)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중국 정부 차원의 사드 보복에도 불구하고 ‘한류열풍’에 영향을 받은 중국 개인들의 화장품 등에 대한 직접구매 수요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해외 직구 및 역직구 현황

해외 직구 및 역직구 현황

 1분기 한국인의 온라인 해외 직접구매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미국이었고, 금액은 3109억원이었다. 전체 해외직구액(5377억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7.8%였다. 유럽연합(1257억원), 중국(473억원), 일본(408억원)이 뒤를 이었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직구’한 품목은 의류·패션 및 관련 상품으로, 직구액이 1984억원이었다. 그 다음은 음식료품(1387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575억원)였다.

 한편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6조3257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3% 증가했다. 이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같은 기간 37.6% 증가한 3조7318억원이었다. 모바일 쇼핑 거래액 비중이 높은 품목은 아동·유아용품(74.8%), 신발(73.2%), 음·식료품(72.9%), 가방(71.0%) 등이었다. 1분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18조1911억원,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35% 증가한 10조6626억원이었다.
세종= 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