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불치의 AIDS|상륙경로 차단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한국은 과연 AIDS (후천성면역결핍증)로부터 안전한 나라인가. 여성의 전화는 3일 서울 태화사회복지관 강당에서 AIDS 예방대책에 관한 공개 토론회를 열고 김수근씨 (한양대) 가 「AIDS 현장과 대책」, 지은희씨(덕성여대강사)가 「AIDS예방정착의 문제점」, 연성수씨(한국문화운동연구소 소장) 가 「AIDS와 사회적 불평등」을 각각 발표한 뒤 질의 응답을 가졌다.

<여성의 전화, 「aids예방」공개토론회>
토론회에서 한결같이 지적된 문제는 AIDS가 파급·확산되는 가장 중요한 경로가 제도적으로 차단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지난 9월 보건사회부가 AIDS예방법안을 통과시키긴 했으나 한국에 오는 외국인에 대한 AIDS 항체반응검사를 의무화하는 가장 중요한 조항을 두지 않음으로써 이 법안의 실질적 효과가 대폭 감소된 것은 물론 그 목적조차 의심스럽게 돼버렸다는 것이다.
AIDS가 한국에 상륙해 널리 확산되는 과정을 추정해보면 ①AIDS에 감염된 주한미군 상대의 위안부 감염 ②미군과 한국남성을 모두 상대하는 위안부로부터 한국남성의 감염 ③앞의 남성을 통한 한국인상대위안부의 감염 ④앞의 여성을 통해 한국남성들 감염 ⑤앞의 남성들 통해 여성들 감염 ⑥앞의 여성에게서 태어나는 아기의 감염 순서이며 이미 ③의 단계에까지 와있는 만큼 시급한 대책용 세워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주한미군의 대부분이 성적으로 활발한 20∼30대 젊은이들이며 통계적으로 미국민의 약 2%가 AIDS바이러스 보균자이므로 최소 2백∼6백명정도의 주한미군은 AIDS를 한국에 퍼뜨릴 가능성이 있는만큼 이들 전원에 대한 검진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편 『콜레라등 제3세계의 전염병에 대해서는 선진국들이 철저히 통게하면서 주로 선진국에서 만연되고 있는 AIDS가 후진국에 상륙하는데 대해서는 선진국들이 아랑곳 하지않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외교적인 노력을 통해 이를 적극 막아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한국에서 발생한 3명의 AIDS 양성반응자는 혈액이나 혈액제제(수입품)를 통해 감염된 사실에 비추어 이의 수입 및 관리도 철저히 해야한다는 것이다.
또 『관광에 의한 외화획득이 줄어드는 한이 있어도 국민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법안을 새로 만들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큰 호응을 받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