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리셋 코리아

2021학년도부터 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강홍준
강홍준 기자 중앙일보 데스크
양영유
양영유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전민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4차 산업혁명 맞게 대입 전환을 

올해 초 중앙일보·JTBC의 여론 수렴 사이트 시민마이크(www.peoplemic.com)를 뜨겁게 달궜던 해시태그(#·검색용 주제어)는 ‘실력’이었다. 현재 덴마크에서 한국 송환을 거부하고 있는 정유라씨의 “돈도 실력”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정씨의 이화여대 부정 입학은 ‘금수저·흙수저’ 논란을 불러일으켰을 뿐 아니라 결국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을 수면으로 끌어올렸다. 시민마이크에 올려진 글 가운데 공감 순에서 상위를 차지한 아이디 ‘Kyun****’는 “자신의 노력으로 명문대에 들어가는 정상적인 나라를 꿈꾼다”고 했다.

리셋 코리아 교육분과 제안 #상대평가는 남보다 잘해야 경쟁 #절대평가는 내가 잘하면 돼 #사교육 오히려 줄일 수 있어 #오지선다형도 서술형으로 가야 #4차 산업혁명 대비할 역량 키워

입시의 공정성은 ‘부모의 도움 없이’ 또는 ‘경제력 또는 권력의 지원 없이’ ‘본인의 실력만으로’를 뜻한다. 정유라가 고교 수업을 제대로 듣지 않아도 청담고를 졸업할 수 있었던 것도, 이화여대에 입학할 수 있었던 것도 자신의 실력보다 외부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런 외부의 지원이 가능한 대입 전형은 ‘금수저’ 전형이란 비판을 받고 있다.

중앙일보·JTBC의 국가 개혁 프로젝트 ‘리셋 코리아’ 교육분과 위원인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대입제도 기사의 댓글을 보면 대입은 100% 정시 모집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이 의외로 많다. 수능으로 가는 정시 모집에도 문제가 있긴 하나 그래도 수능은 공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각종 언론기관이 쏟아내는 대입 기사의 댓글엔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이 “정시 좀 늘리자”는 게 꼭 붙는다. 마동훈(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위원도 “공정성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이 있는 상황에서 무조건 수능을 없애는 게 능사는 아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수능 절대평가

수능 절대평가

다만 수능이 존속된다고 하더라도 오지선다형 객관식 시험 체제는 바뀌어야 한다는 점에 위원들의 의견이 일치했다. 수능과 같은 선다형 평가가 그대로 남아 있는 한 초·중·고교 교육은 학생들의 ‘정답 찾기’ 능력만 키워준다는 것이다. 이주호(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위원장은 “외국 전문가들은 한국에서 오지선다 시험을 보고 대학 간다는 사실을 들으면 모두 경악한다”며 “이런 평가로는 사고력, 협업 능력, 문제 해결력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키워줄 수 없다”고 말했다. 김희삼(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위원도 “논술·서술형 평가로 대입을 치르는 홍콩 등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교육분과 위원들은 “장기적으로 오지선다식 평가에서 논술·서술형 평가로 전환하되 올해 중3 학생들이 대학 입시를 치르는 2021학년도 수능에서는 평가 방식을 현행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1~2점 차이로 등급이 갈려 대입 당락이 결정되는 일이 줄고 경쟁이 완화돼 사교육을 줄일 수 있다. 지난해 수능에서 한국사가 처음으로 절대평가로 치러졌으며 1등급 비율이 전체 응시 인원의 20%를 넘었다. 2018학년도 수능에선 영어가 처음으로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이화성 창덕여중 교장은 “상대평가 체제에서는 내가 잘하는 것보다 남보다 잘해야 하는 경쟁에 휘말린다”며 “현행 수능의 선다형과 상대평가는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완(미래교육연구원장) 위원도 “절대평가와 5등급제 도입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제안했다.

교과당 9등급, 최대 72등급으로 변별력 충분

수능 절대평가

수능 절대평가

절대평가 도입의 최대 장애물은 변별력 확보 문제다. 누구나 다 1등급을 받는 상황에서 대학이 어떻게 학생을 선별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실제로 노무현 정부 시절 수능 점수 폐지와 9등급제가 도입되면서 변별력 확보 논란이 있었다. 이에 대해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절대평가로 전환됐거나 될 예정인 한국사와 영어 외에 수학·국어·통합사회·통합과학에도 9등급을 도입한다면 6개 교과에 9등급, 최대 54등급이 나온다. 여기에 사회와 과학에서 각각 선택과목을 추가하면 최대 72등급으로 늘어나 수능 변별력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전 과목 1등급이면 합이 8등급이고, 모든 과목이 9등급인 학생은 합이 72등급이 나오므로 등급 합의 최소와 최대 사이의 구간은 65가지가 나온다는 것이다.

변별력 요구는 대학에서 나온다. 이 때문에 본고사가 재현될지 모른다는 비판도 있다. 이에 대해 김경근(고려대 교육학과 교수) 위원은 “대학이 선발에 올인하기보다 어떻게 가르쳐 사회에 보낼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양영유 논설위원, 강홍준 사회선임기자, 전민희 기자 yang.youngy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