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사드 부지 확정에 中 보복 시사 “불매운동”

중앙일보

입력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배치와 관련해 부지로 예정된 성주골프장 전경. 위쪽 산 넘어에 경북 김천혁신도시가 있고 아래쪽 방향이 골프장 출입구. [프리랜서 공정식]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배치와 관련해 부지로 예정된 성주골프장 전경. 위쪽 산 넘어에 경북 김천혁신도시가 있고 아래쪽 방향이 골프장 출입구. [프리랜서 공정식]

중국 당국이 27일 롯데 성주골프장이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부지로 확정되자 이를 비난하고 나섰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부지 승인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뒷감당은 미국과 한국의 책임”이라며 “중국 측은 결연히 반대하고 강력히 불만을 표시한다”고 말했다.

겅 대변인은 우선 이날 롯데그룹이 이사회를 열어 사드 부지를 승인한 것에 대해 “미국과 한국 측이 사드를 추진하는 것은 지역의 전략균형을 엄중히 파괴하며 중국을 포함한 역내 유관국의 안전 이익을 훼손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 수호에 도움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겅 대변인은 “이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뒷감당은 미국과 한국의 책임”이라며 한반도 사드배치에 따른 보복을 시사했다.

이날 중국 매체들도 일제히 롯데 사드 부지 확정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면서 비난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한국의 5위 재벌인 롯데그룹이 자사 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사용하도록 결정했다”면서 “한국 국방부가 이같은 사실을 롯데로부터 전달받았다”며 롯데의 사드 부지 제공을 강력히 비판했다.

중국 관영 CCTV도 이날 오후 5시(현지지간) 톱 뉴스로 “사드 배치에 대해 필요 조치를 할 것”이라는 겅 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 브리핑 내용 등을 전했다.

롯데는 사드 부지 제공으로 후폭풍이 발생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롯데 측은 “향후 추이를 면밀히 지켜보는 것 외에 별다른 해결책이 없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롯데(?天集?) 불매운동(?合抵制)”라는 자극적인 댓글을 올렸다.

롯데에 대한 중국의 압박은 이미 예고돼 있었다. 나라”는 경고 메시지를 전하며 압박 수위를 높여왔다. 최근 쓰촨성 지역매체는 롯데마트 제품이 유통기한이 지난 것과 롯데백화점 상품권이 전 매장에서 적용되지 않는 것을 트집 잡아 보도하기도 했다. 사드 부지 제공을 결정했기 때문에 더 강한 압박을 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19일에는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사설을 통해 “롯데그룹 경영진은 사드 부지로 골프장을 제공할지에 대해 결정하지 않았지만, 지역 관계를 불안하게 할 수 있는 불장난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롯데는 약 3조원을 들여 중국 선양에 쇼핑몰과 호텔, 테마파크 등을 조성하는 ‘롯데타운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알리바바의 온라인쇼핑몰 톈마오에서 롯데 플래그숍은 이미 문을 닫았다. 롯데는 롯데쇼핑ㆍ롯데칠성음료ㆍ롯데제과ㆍ롯데케미칼ㆍ롯데시네마 등 24개 계열사가 중국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다. 롯데 계열사의 중국 내 연매출은 약 3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직원 수도 2만6000여명에 이른다.

2018년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이달 초 중국 당국에 의해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