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자녀 ADHD 위험 최대 1.7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저소득 가구 자녀일수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 행동 등을 보이는 질환인데 주로 어릴 때 생긴다.

중상위층서 떨어진 아이 더 높아
“부모 대신 학교·사회 관심 필요”

박은철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2002~2003년에 태어난 청소년 1만8029명을 추적조사한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역학저널’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을 0~3세 당시의 가구 소득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눴다. 저소득층(소득 하위 30% 이하), 중하위층(31∼50%), 중상위층(51∼80%), 고소득층(소득 상위 81% 이상) 등이다.

이들 그룹 간에 비교해 보니 10~11세일 때 ADHD를 앓는 확률이 저소득층은 중상위층의 1.5배였다. 저소득층보다는 소득 수준이 다소 높은 중하위층 역시 발병 위험이 높아 중상위층의 1.4배였다. 0~3세에 가구 소득이 중상위층에서 저소득층·중하위층으로 떨어진 아동에선 특히 발병 위험이 높아 중상위층의 1.7배였다. 연구진은 ‘짧은 시기에 가정이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아이들 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소득 가구 자녀에서 발병 위험이 높아진 요인으로 연구진은 양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부족, 가난에 따른 건강 격차 확대 등을 꼽았다. 박 교수는 “저소득 가정의 자녀에 대해선 부모를 대신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ADHD 발병 여부를 적극 확인해 치료를 도와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