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실질적 이사장은 朴대통령” 사실확인서 입수

중앙일보

입력

[사진 JTBC 캡처]

[사진 JTBC 캡처]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최태민 일가의 재산 형성과정과 박근혜 대통령과의 이익공유 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난달 31일 참고인 신분으로 영남대의 전신인 대구대학 설립자 고(故) 최준 선생의 손자 최염(83)씨를 소환해 참고인 진술을 들었다.

영남대 비리에 대해 ‘모르는 일’이라던 朴대통령
영남대 전 총장이 작성한 사실확인서 내용 보니

조사를 통해 특검은 박 대통령이 이사장과 이사를 지낸 1980년부터 1988년 사이 벌어진 각종 비리에 대해 최씨의 진술과 자료를 확보했다. 이러한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당시 1980년 초 이사장에서 사임하고 이사로 있으면서도 사실상 ‘실질적 이사장’ 역할을 했고 주요 의사결정을 도맡았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JTBC가 5일 보도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영남대 비리에 대해 ‘모르는 일’이라는 태도를 취해왔다. 이사장 취임 후 4개월 만에 이사로 자리를 옮기면서 각종 권한이 없어졌다는 이유다.

영남대는 정권의 강압에 의해 1967년 12월25일 당시 자산가치 20억원의 대구대와 15억원의 청구대가 합쳐져 설립됐으며 박 대통령은 1980년 이사장으로 취임하자 학내 소요로 인해 이사장직을 사임하고 이사로 재직했다. 1988년까지 학교운영의 각종 비리로 사립학교 최초로 국정감사를 받은 뒤 박 대통령은 자진사임했다.

최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로 있었던 1986년부터 2년 동안 영남대 총장을 맡았던 고(故) 김기택씨가 2007년에 작성한 ‘사실확인서’를 제출했다.

확인서에 따르면 학내 민주화 과정에서 당시 조일문 이사장과 교수들의 면담을 주선하려 했는데 조 이사장이 거부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어 “자신은 실권이 없으니 실질적 이사장인 박근혜 이사와 만나는 게 좋겠다”고 제안한 내용도 포함됐다. 결국 당시 교수들은 조 이사장이 아닌 박 대통령을 만났다.

당시 김 전 총장이 남긴 기록에는 “모든 업무 결정을 실질적 이사장인 박근혜 이사가 직접 했음을 알 수 있다”고 적혀 있다. 이어 “박근혜 이사가 임명한 (당시 비리를 주도한 최태민씨의 측근)4인방을 통해 중요한 업무가 전달”됐고 김 전 총장은 ‘박근혜 이사의 지시라 생각하고 중요한 일을 처리했다’고 했다.

아울러 최씨는 “박 대통령이 영남대를 장악했던 8년간 최태민 일가는 학교 운영을 좌지우지하면서 법인 재산을 팔아치웠다”고 폭로한 바 있다. 이어 박 대통령이 영남대 이사장이 됐을 때 당시 학교 소유의 땅을 헐값에 판 돈이 ‘최태민에서 최순실’로 흘러갔다는 주장도 내놨다.
특검은 이 과정에 박 대통령이 개입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