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핫 이슈] 인터넷 통한 선거운동 벌써 과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내년 총선을 앞두고 벌써부터 사이버 선거 운동이 뜨겁다. 각 정당과 시민단체.출마 희망자들은 저마다 홈페이지를 정비하며 선거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대선에서 '디지털 파워'를 실감한 바 있어 인터넷 활용이 총선 승패를 가늠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거란 판단에서다. 특히 2000년 4월 총선처럼 일부 단체들이 특정 인물에 대해 인터넷 낙선운동도 벌일 조짐이어서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

네티즌들도 이러한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당장 정부가 추진 중인 인터넷 국정신문이 총선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판단, 사이버 상에서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 청와대 홈페이지(www.president.go.kr)를 비롯한 각종 사이트에서는 이에 대한 설전이 벌어졌다.

찬성론자들은 "기존의 거대 언론들이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여론을 왜곡하고 있다"며 "정부 정책을 정확히 알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의 여론을 정확히 알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총선을 겨냥해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할 매체를 만들려는 권위주의적 발상"이라는 반대론도 거세다.

민주당과 한나라당도 디지털 정당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일부 젊은 유권자들로부터 '경로당' '재벌 정당'이란 비판을 받았던 한나라당(www.hannara.or.kr)이 상대적으로 절박하다. 최병렬 대표는 최근 "전체 유권자의 47%를 차지하는 20, 30대를 등지고 당이 존재할 수 없는 만큼 디지털 정당화는 생존문제"라고 말했다.

崔대표 자신도 이른바 '놀자 시리즈'로 불리는 인터넷 토론을 통해 한나라당의 수구적 이미지를 벗겠다는 전략이다. 더욱이 '사이버 논객'을 뽑아 전국구 후보로 내세우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등 젊은 유권자를 잡기 위해 힘쓰고 있다.

민주당(www.minjoo.or.kr)도 'e-민주당 실현 전략'을 마련하는 등 본격적인 전자 정당화를 추진 중이다. 전자투표의 상설화도 눈에 띈다. 온라인을 통해 특정 현안에 대한 당원들의 의견을 물어본 뒤 당론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또 신주류가 주축이 돼 '전자정당 추진위원회'를 구성, 진보 정당으로서의 이미지를 심겠다는 전략이다.

현 정권의 친위부대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국민의 힘'(www.cybercorea)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미 네티즌을 상대로 선거법 개정을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을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총선 준비에 들어갔다.

이들은 ▶선거일 6개월 전 '예비 후보자'등록을 통한 정치 신인의 참여기회 보장 ▶인터넷 선거운동의 항시 보장 ▶선거 연령 19세 하향 ▶선관위의 포털 사이트를 통한 후보자 정보공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온라인 서명이 끝나는 대로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국민의 힘이 운영하는 '국회의원 바로 알기, 금배지 그들이 알고 싶다'는 프로그램도 정치권과 네티즌의 논란 속에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보수층의 대변자를 자처하는 '국민의 함성'이 결성돼 사이버 상에서 활동에 들어가는 등 벌써부터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가열될 조짐이다.

이러한 사이버상의 선거운동 추세에 대해 일부 네티즌은 "정치인들의 독선을 막고, 국민의 정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긍정적인 모습"(swjung),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최대한 활용, 유권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asang)고 지적했다.

그러나 "편협한 사고 방식으로 특정 집단의 홍위병 노릇을 할 우려가 있어 건전한 대안 언론으로 자리잡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goodbye), "교묘한 편법으로 공정 선거를 저해할 우려가 크다"(jang) 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박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