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지방지점 개점 전면 백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달 30일의 기습 개점이후 지방 서적상들의 격렬한 항의농성에 부닥쳐 하루만에 휴업에 들어갔던 교보문고 6개도시 지방지점들이 개점을 전면 백지화했다.
교보측은 이달초부터 잇달아 대책을 논의한 결과 11일 백지화 방안을 최종 결정짓고 이를 문공부·출협등에 12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5년6월 지방지점을 설치하려는 교보측과 이를 반대하는 지방서적상들간의 「서점전쟁」이후 1년반만인 올해초 양측의 극적 합의에 따라 추진됐던 교보지점 개설은 이로써 또다시 무산됐다.
최종답안이 늦어진 것은▲지점직원으로 채용했던 2백50명의 사원 사후대책 마련▲그동안 서가설치비등으로 지출된 20억원 상당의 손실금 문제▲지점에 비치된 1천5백여 출판사의 1백30만권 상당의 서적처리문제 때문인데 교보측은 ▲당분간 신규직원 채용을 중단함으로써 2백50명 사원을 서울본사로 전입시키기로 결정하고▲6개 지점 공간을 출판계가 서점으로 관리·운영해달라는 건의문을 12일 출협측에 발송했다.
교보측의 건의문을 접수한 출협측은 14일 산하 경영합리화분과위원회를 열고 이를 검토, 서점공간의 확대라는 출판계 당면과제 차원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출판협동조합 (이사장 허창성)에서 교보지점 공간을 인수, 6개 서점을 운영케 하는 방안을 모색중이다.
그러나 이 경우 또다시 지방 서적상들이 출협을 상대로 항의농성을 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상황은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교보지점 백지화에 대해『농락당했다』고 거세게 집단반발했던 출판사들은 교보측과 출협측의 접촉소식을 듣고 『어차피 교보지점 백지화가 현실화된 이상 출판협동조합이 이를 인수, 관리하는 것은 최선의 합리적 방안』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개점강행」과 「결사반대」의 팽팽한 대립에서 교보측이 2년여 숙원사업을 갑자기 포기한 것에 대해 관련업계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한 관계자는『이번 대립이 「대기업대 영세상인」이라는 차원으로 도식화됨으로써 최근의 민주화바람이 모종의 압력으로 교보측에 작용한 것으로 알고있다』며 『어쨌든 교보측은 공공문화업체로서 자의적인 백지화결정을 한데 대해 출판계 및 고객들에게 사과해야한다』고 말했다.
일례로 교보측은 아직까지 개점을 기정사실로 알고 있던 출판사들 및 고객들에게 백지화결정을 공식통보하지 않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