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범죄예방 대상] 부산광역시, 민·관·학 참여하는 효과적인 범죄예방사업 구축해 실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부산시는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을 활용해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동 빨래방’을 만들었다.

부산시는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을 활용해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동 빨래방’을 만들었다.

부산시는 지역민이 참여하는 환경디자인을 발굴하고 관계 기관과 함께 사업 관련 규정을 정비하는 등 다양한 범죄예방 사업을 펼치고 있다. ‘시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도시 조성’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2013년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동구, 부산진구, 남구, 북구 등 10개 자치구에서 범죄에 취약한 15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부산시는 사업의 효율성을 위해 시에서 재정부담·사업추진을 전담하고, 자치구와 군은 주민 참여 분야와 사후 시설물 유지관리를 맡도록 역할 분담을 명확히 했다. 또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조례·가이드라인을 제정하며 관련 규정을 정비했다. 사업대상지 선정과 디자인·설계, 시설물 설치공사 등 사업 추진 단계별로 의견을 수렴하고 관할 경찰·검찰·민간전문가·도시재생센터가 참여하는 실무협의회를 운영하며 협업체계를 구축했다. 사업추진 단계별로 주민이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지방경찰청·검찰청과 교육청 등 관계기관과는 협약을 체결했다.

이처럼 사업을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현장에 접목시켜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은 것이 수상의 요인으로 꼽힌다.

지역주민 스스로 마을 안전 관리

부산에는 좁은 미로 같은 골목이나 빈집이 밀집해 범죄에 취약한 곳이 많다. 좁은 골목 밀집지엔 큰길로 안내하는 유도선을 표시하고 방치된 폐·공가는 차단시설을 설치하거나 주민 생활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주민이 참여하는 맞춤형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을 발굴한 사례로는 청소년층만 인지하는 주파수 영역 신호를 방출해 밀폐공간에서의 청소년 범죄를 예방하는 모스키토, CCTV와 영상스크린으로 범죄 사각지대를 없애는 안심키오스크가 있다.

사람이 살지 않는 폐가를 활용해 주민들에게 생활 공간을 제공하는 ‘공동 빨래방’, 폐우물을 소방수로 활용하면서 소화설비를 갖춘 주민 공동 쉼터로 탈바꿈시킨 사례도 있다. 사업이 진행된 이후 주민 만족도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민이 생활과 밀접한 곳에서 느끼는 문제점을 찾아 제시한 실질적인 대안을 정책에 반영한 결과다.

올해엔 4개 지역에서 범죄 예방 환경 디자인을 설계한 후 공사를 하고 있다. 부산 남구 우암동과 북구 구포동, 해운대구 재송동, 금정구 금사동이다. 이중 금정구 금사동에선 경호고등학교 인근 주택지를 개선한다. 지역 내 청소년 비행 문제 때문에 주민과 오랜 기간 마찰을 빚어온 곳이다. 이에 불협화음을 해소하기 위해서 학생, 주민, 동주민센터, 서금지구대가 함께하는 ‘셉테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난 1일에는 경호고에서 4개 기관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언약식을 하고 함께 마을을 둘러보았다. 부산시 관계자는 “학생과 주민이 스스로 마을을 관리해 나가는 방향으로 셉테드의 또 다른 진화를 꾀하고 있다”며 “마을공동체 활동을 통해 애향심을 높이는 효과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안전도시 조성을 위해 현재까지 23억2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2013년에 4개 지역(3억2000만원), 2014년 3개 지역(5억원), 2015년 4개 지역(8억5000만원) 등 11개 지역에서 사업이 마무리됐다. 올해에도 4개 지역에 6억5000만원을 투입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매년 3∼4곳의 범죄취약지를 선정해 부산형 셉테드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